신한, 내부통제·미래준비 올해 키워드
그룹 차원서 내부통제 최우선 과제로
계열사 시너지 창출·지역사회 상생 목표
은행, 디지털 등으로 금융혁신 천명
해외시장 개척 등 강화 의지도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왼쪽), 정상혁 신한은행장 |
신한금융그룹이 내부통제와 금융혁신을 2025년 청사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임하겠다고 밝혔다.
그룹 차원에서는 금융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확고한 내부통제를 다지고, 그룹사 간 유기적인 연결을 통한 영업력 강화와 상생 실천 등에 힘쓰고, 은행은 본업인 영업력 강화는 물론 디지털과 해외 분야 혁신을 통한 미래 준비에 방점을 찍는다.
2일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올해는 신한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이를 위해 실
효성 있는 내부통제 확립, 차별화된 고객가치 창출, 금융을 통한 사회적 이슈 해결이라는 3가지 과제를 냈다.
그는 특히 내부통제 부분에 대해 “지난해 내부통제에 역점을 두고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지만, 고객과 사회의 눈높이에 부족한 점이 있었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신한투자증권에서 나온 금융사고를 염두에 둔 발언이다.
진 회장은 “올해는 보다 실질적인 내부통제 체계가 구동될 수 있도록 관리 감독, 평가, 모니터링 전반을 꼼꼼히 살피고 임직원 윤리의식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고객가치 창출을 위해 빠르면서도 절차가 간소화된 금융을 내세우기도 했다.
이를 위해 그룹사 간 시너지 발굴 확대를 제안했다.
금융사의 오랜 숙제인 상생 분야에서는 특히 녹색금융 및 전환금융 공급을 늘려 E
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E에 해당하는 환경 분야 강화와 함께, 저출생 문제에 대한 해법 모색, 청년 세대 지원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올해 그룹 경영 슬로건을 ‘고객중심 일류(一流)신한 Humanitas, Communitas’로 내세운 진 회장은 Humanitas가 의미하는 인간다움, Communitas가 뜻하는 공동체에 중점을 두고 직원들이 일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진 회장은 “금융인으로서의 Humanitas(인간다움)는 더욱 엄격하게 적용된다.
금융은 고객과 사회의 신뢰를 기반으로 상호작용하는 생태계”라고 강조하면서 “금융인은 개인이나 회사의 이익이 아닌 고객의 신뢰를 최고의 가치로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개인보다는 동료나 조직을 우선에 두는 ‘공동체 중심주의’를 가져줄 것도 당부했다.
작년 2년의 임기를 더 부여받아 연임에 성공한 정상혁 신한은행장은 “올해는 본업의 혁신과 미래를 향한 도전에 집중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 견고한 체질을 확보하는데 모든 자원을 투입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 행장을 이를 위한 4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본엄 가치 혁신’은 기존의 자산중심 영업전략에 더해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질적 성장 달성이다.
그는 “새로운 시장과 기회를 찾는 일에도 전력을 다해야 하겠다”고 말하면서 “업의 경계를 넘어 고객과 금융이 있는 모든 곳에서 ‘연결과 확장’의 기회를 찾으며, 신한의 비즈니스 영역을 더욱 넓혀 나가자”고 제안했다.
또 미래를 위한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디지털 혁신, 금융 플랫폼 확장 등을 제시했다.
작년 신한은행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시중은행 최초로 ‘AI 브랜치’를 만들었고, 배달앱인 ‘떙겨요’와 ‘헤이영캠퍼스’ 등 내부 플랫폼 구축과 안정화에 공을 들여왔다.
이를 올해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다.
또 ‘견고한 체질’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는 진 회장도 언급한 내부통제 강화다.
또 자본효율성 높이기도 강조하면서 비효율적 사업과 자산의 정리와 성장성 높은 영역에의 자원 집중 투입도 강조했다.
정 행장은 ‘단단함과 부드러움을 함께 갖추어 조화를 이룬다는 뜻의 ‘강유겸전 (剛柔兼全)’이라는 사자성어를 인용하며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신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강하면서도 유연함을 갖추는 ‘균형’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마음자세로, 더 나은 신한의 미래를 향해 우리 함께, 힘차게 나아가자”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