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보험연구원에서 열린 ‘배터리 화재위험과 보험의 역할’ 세미나에서 최명영 화재보험협회 방재시험연구원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최종일 기자] |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지하주차장에서의 화재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칫 대형 사고로 번질수 있어 보험사와의 연계 등 위험관리 강화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6일 보험연구원에서는 ‘배터리 화재위험과 보험의 역할’ 세미나가 열렸다.
사회를 맡은 정광민 포스텍 교수는 “최근 인천 청라에서 과거에는 보지 못했던 배터리 발화로 추정되는 전기차 화재로 100대가 넘는 차량이 전소 피해를 입었다”며 “잠재적인 배터리 환경과 보험사의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명영 화재보험협회 방재시험연구원은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화재 사고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데 앞으로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화재는 지난 2022년 2건에서 지난해 10건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그는 전기차는 올해 6월 60만대를 초과했고 오는 2030년에는 420만대로 7배가 늘어날 것으로 봤다.
그는 전기차 화재는 주차돼 있거나 충전 중 발생하는 비중이 높다고 설명했다.
2018~2024년 8월 기준 국내 전기차 화재 현황을 보면 주차 중 61건·충전 중 35건으로 69%를 차지했다.
|
26일 보험연구원에서 열린 ‘배터리 화재위험과 보험의 역할’ 세미나에서 최명영 화재보험협회 방재시험연구원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최종일 기자] |
특히 최 팀장은 지하주차장에서 불이 나면 큰 화재로 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전기차 충전설비 위험 진단을 나가보니 상부에 천장 누수가 있거나 CCTV 미감시, 가연성 단열재 사용 등을 확인했다”며 “충전케이블이 바닥에 적재돼 있어 압착사고 가능성이 있는 등 여러 위험 요소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하주차장은 스프링클러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확률이 낮다”며 “실제 정상 가동률은 18%라는 논문도 있다”고 말했다.
지하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배출도 어렵고, 소방인력이 진입하시는 데 시간이 걸리는 등 여러 리스크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해 일종의 상벌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법을 통해서 페널티를 주면 좋지만 법 제정까지는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이다.
최 팀장은 “위험평가를 해서 선제적으로 잘 돼 있는 곳은 보험가입 때 인센티브를 주는 방법이 있다”며 “보험 인수 땐 리스크의 적정한 가격 산출 등을 통해 제대로 된 위험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지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외의 다양한 제도와 보험상품 등을 소개했다.
그는 “중고차 시장에서 전기차가 확대될 수 있으니 자동차보험에서 테스트를 통해 안전성 마련이 중요하다”며 “자동차 및 주택화재보험 등과의 결합을 통해 사고 예방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정민 뮌헨 재보험 부장은 “보험으로 많은 부분을 위험 전가를 해야 한다고 보는데 적정한 요율 수준을 고민하고 있다”며 “원수사와 재보험사가 협력해서 안정적인 보험 시장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범진
삼성화재 기업안전연구소 연구원은 “청라 지역의 화재는 전기차로 사회적 이슈가 됐지만 소방시설 유지관리의 원인이 더 크다고 본다.
관리감시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