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결국 망가지나”…연체율 최고 8%·5천억 순손실, 부동산PF 후폭풍

규제완화에도 M&A 제자리
금리인하 기대 축소에 인수매력도 ‘뚝’

서울시내의 한 저축은행 지점 모습. 본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한주형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촉발된 자산건전성 우려가 저축은행업계를 덮친 가운데, 특히 지방저축의 경우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의원실(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예금보험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지역 저축은행 연체율은 8.1%로 전년(4.3%) 대비 3.8%포인트 높아졌다.


이어 대구·경북·강원과 대전·충남·충북이 7.8%를 기록했다.

두 지역은 전년에도 4.2%로 같았으며 1년 만에 3.6% 포인트 높아졌다.

경기·인천이 7.6%, 부산·울산·경남이 6.4%로 각각 전년(3.5%·3.8%) 대비 4.1%p, 2.6% 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6.55%로, 서울(6.0%)과 부산·울산·경남(6.4%)을 제외한 지역 저축은행들의 연체율은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대구·경북·강원의 경우 10.2%까지 뛰었고 경기·인천(8.8%), 광주·전남·전북(8.5%), 대전·충남·충북(8.4%)도 8%대로 치솟았다.


지방저축은행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원인은 부동산 관련 대출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비대면 모바일뱅킹의 발달로 기존의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기능은 축소된 데 비해 부동산 담보·부동산 PF 대출 취급 비율은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결국 건설·부동산 경기가 불황이면 전체 연체율도 높아지는 구도가 된 것이다.


일례로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 지역 저축은행 7개사의 전체 대출금 규모 대비 부동산 관련 대출(부동산 담보·건설업·PF 대출) 비율은 37.3%였고, 연체율은 9.33%에 달했다.

PF 연체율도 13.8%를 기록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방·중소형저축은행을 큰 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취지로 비수도권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동일 대주주가 최대 4개까지 저축은행을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지만, 지난해 매물로 나온 상상인·상상인플러스·HB·애큐온저축은행도 여전히 새 주인을 찾지 못한 상태다.


저축은행이 9년 만에 5000억원대 순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한 데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작아지며 인수매력도가 낮아진 탓이다.

저축은행업권은 여신 취급 시 고정금리 비율이 높아 금리 하락 시 예대마진이 커진다.


매수 측에서도 지방 저축은행보다 수도권 저축은행을 선호하면서 인수합병(M&A)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는 측면이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