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중소기업 제조 현장을 지능형 공장으로 고도화하는 '스마트공장 3.0' 사업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3.0 사업을 통해 매년 100억원씩 3년간 총 300억원을 투자해 600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를 지원합니다.

삼성전자는 인구소멸 위험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해 지역 경제활성화와 중소기업의 지속가능경영(ESG)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담 조직도 별도 구성해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 스마트공장 3.0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와 스마트공장 수혜 기업이 손잡고 지자체별로 진행하는 '자생적 지역 스마트공장 생태계' 확산에도 힘을 보탤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는 2015년 경북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사업을 시작해, 2016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했습니다.

스마트공장 사업을 통해 지난해까지 8년간 전국 중소기업 총 3000여곳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삼성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해 기초적 데이터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업체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추진합니다.

AI(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해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해 현장의 문제점을 선제 대응하고 개선하는 '지능형 공장'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할 방침입니다.

스마트공장 3.0의 주요 목표인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인구소멸 위험 지역에 있는 중소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해당 지역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매출 증가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인재의 취업 기회도 확대해 궁극적으로 인구소멸의 위기에서 벗어나도록 지원합니다.

삼성전자는 전담 조직을 구성해 중소기업 지속가능경영(ESG) 강화에도 나설 방침입니다.

삼성이 보급한 스마트공장, 지자체·수혜 기업 함께 하는 '자생적 지역 생태계' 진화 스마트공장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하는 삼성의 대표 사회공헌사업입니다.

앞서 이재용 회장은 취임 직후인 지난해 11월에 스마트공장 지원을 받은 부산광역시 도금기업 '동아플레이팅'을 찾아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해 상생의 선순환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