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미국 진출길이 막힌 중국 배터리가 유럽연합(EU)에 집중 투자하면서 한국 기업의 EU 내 배터리 점유율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오늘(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배터리의 최대 격전지, EU 배터리 시장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EU는 역내 배터리 제조역량을 강화하고 재활용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배터리 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습니다.

오는 2030년엔 EU가 전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의 약 4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많은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이 EU 내 신규 설비투자 및 증설 계획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IRA로 인해 미국 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중국 기업의 EU에 대한 투자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한국 기업과의 점유율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고 무협은 분석했습니다.

미국이 중국을 배제한 배터리 공급망 구축을 추진하는 반면, EU는 중국 기업의 투자 유치에도 개방적이기 때문입니다.

무협이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를 참고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EU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20년 14.9%에서 지난해 34.0%로 19.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반면 한국의 EU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2020년 68.2%에서 지난해 63.5%로 4.7%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무협은 "공장 건설과 수율 확보를 위한 시운전 기간 등을 고려할 때 향후 1∼2년 내 수주 경쟁의 결과가 5∼6년 이후의 시장점유율을 좌우하게 된다"며 "단기적인 자금 조달 능력이 수주 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