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국내 양대 포털인 '네카오'(네이버와 카카오)의 작년 1인당 평균 급여액이 1억3천만 원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지난해 카카오와 네이버의 직원 평균 급여액은 각각 1억3천900만원과 1억3천449만원으로 집계돼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등기 임원을 제외한 전체 직원의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 행사 차익을 반영한 평균치입니다.

특히 카카오는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19년 이듬해인 2020년부터 3년 연속으로 네이버보다 직원 평균 연봉이 높아졌습니다.

구체적으로 2019년 임직원 평균 연봉에서 카카오(8천만 원)는 네이버(8천400만 원)에 뒤졌지만, 이후 2020년 1억800만 원, 2021년 1억7천200만 원, 작년 1억3천900만 원으로 같은 기간 네이버(2020년 1억248만원→2021년 1억2천915만 원→1억3천449만 원)를 줄곧 앞섰습니다.

대표이사 보수도 지난해 카카오의 홍은택 대표가 29억7천500만 원을 기록, 네이버의 최수연 총괄 대표(11억 원)와 채선주 ESG(환경·사회·지배구조)·대외 정책 대표(21억6천200만 원)보다 높았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이 진행된 지난 3년 동안 빅테크에 자본이 급격히 쏠리며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가운데 네이버보다 카카오가 인건비에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실제 카카오의 인건비는 2020년 9천119억 원에서 지난해 1조6천871억 원으로 급격히 늘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