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한국전력이 경영난 해소를 위해 발전소와 송·변전망 같은 일부 전력시설의 건설 시기를 늦추겠다는 점을 공식화한 것을 놓고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오늘(14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 12일 25조7천억 원 규모의 자구안을 발표했고, 이 자구안에 일부 전력시설의 건설 시기를 미뤄 2026년까지 1조3천억 원 절감하겠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물론 '안정적인 전력공급 및 안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라는 전제를 달았습니다.

그만큼 한전의 경영난, 자금난이 급박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이 전기요금에 반영되지 못한 데 따른 장기간 '역마진' 구조로 한전은 2021년부터 올 1분기까지 45조 원의 적자를 냈습니다.

부채는 작년 말 기준 193조 원에 육박합니다.

올해 '부분 자본잠식' 또는 '완전 자본잠식' 상태로 갈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하지만 발전 및 송·변전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한전의 투자 축소는 국내 산업 기반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습니다.

당장 전기차 시장 급성장, 데이터센터 증가 등 산업 전환의 흐름 속에 전기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건설 등 첨단산업단지 구축을 위한 송전망 확충이 필요합니다.

최근 확정된 제10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에 따르면 2036년까지 전국의 송전선로는 현재의 1.6배로 늘어야 합니다.

이에 따른 투자 비용은 56조5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한전은 전망했습니다.

당장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와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1조 원, 수도권 3기 신도시에 1조1천억 원 규모의 신규 송·변전 투자비가 각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여기에는 삼성전자가 2042년까지 용인에 짓기로 한 세계 최대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로의 전력 공급 비용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전기관련단체협의회는 최근 성명서에서 "한전의 적자 가중으로 국내 전기산업계는 생태계 붕괴가 우려될 정도의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