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기차 초급속 충전시장 점유율 1위 SK시그넷은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설립한 'SK시그넷 유럽'이 첫 수주에 성공했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SK시그넷 유럽은 지난 해 12월, 영국에서 100억 원 규모의 첫 수주 계약을 맺으며 유럽 영업을 개시했습니다.

앞서 SK시그넷은 CES 2023 현장에서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유럽 지사 'SK시그넷 유럽'을 설립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SK시그넷은 유럽 내 자동차 시장이 가장 발달한 독일을 거점으로 유럽 내 전기차 보급 확산을 주도하는 독일·영국·이탈리아·프랑스·스페인 등 주요 5개국을 타겟으로 영업 활동과 사업 파트너 발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관리와 고객 대응을 위해 영국 루톤 지역에 서비스센터를 구축해 실시간 고객 대응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유럽은 각 국가별 상황과 법규 등이 달라 세밀화된 고객 대응이 필요한데, SK시그넷은 오랜 경험과 미국 내 경쟁우위를 확보한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에서도 국가별 맞춤형 충전 솔루션과 신속한 CS 대응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EU는 2020년 발표한 '지속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 전략'에서 2030년까지 유럽 내에 전기차 충전기 300만 대 이상 설치를 목표로 설정했으며, 2030년까지 EU의 평균 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수준으로 줄이기 위한 법안 패키지 'Fit for 55'를 지난해 제정했습니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14일 유럽의회는 EU 회원국의 승인을 받아 탄소 배출 규제 합의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로써 2035년부터 유럽연합 내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가 금지됐습니다.

이번 법안 통과로 유럽내 자동차 업계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전기차 보급 및 전기차 충전기 시장 성장도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또한, 유럽의회는 이번 탄소 배출 규제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트럭 및 고속버스 등의 대형 상용차 탄소 배출 규제 법안도 공개했습니다.

이 법안은 2040년까지 대형 상용차의 탄소 배출량을 2019년 대비 90% 줄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메가와트(MW) 단위의 상용차 충전 기술인 메가와트 차징 시스템(MCS) 개발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SK시그넷은 내년 상반기 중 메가와트 차징 시스템(MCS)을 런칭할 계획입니다.

신정호 SK시그넷 대표는 "유럽 내 전기차 인프라 구축에 기여, 이를 통해 실질적 전기차 시대를 앞당겨 글로벌 넷제로(Net-Zero)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박흥준 SK시그넷 마케팅본부장(CMO)은 "선도적으로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있는 유럽 시장에서 SK시그넷의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고객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