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주로에 금칠하나?”...빈살만, 1300조 투자 세계최대 공항 만든다

수도 리야드에 ‘킹 살만 공항’ 추진
“한해 1억8500만명 수용이 목표”
관광산업 확대 위해 1300조 투입
‘석유 의존 경제’ 탈피 노력의 일환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로이터 = 연합뉴스]
‘탈(脫) 석유 경제’를 꿈꾸는 사우디아라비아가 국내 관광 산업을 확대하고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전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공항 건설 추진에 나섰다.

석유 수출에만 의존했던 기존의 경제 형태에서 벗어나 관광 등 다양한 산업을 키우겠다는 ‘비전 2030’ 계획 실천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사우디는 자국 수도 리야드에 ‘킹 살만 국제공항’을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해당 공항의 면적은 57㎢로 6개의 활주로가 설치될 예정이다.

공항 소유는 사우디 국부펀드인 퍼블릭 인베스트먼트 펀드(PIF)가 될 전망이다.


사우디는 자국을 관광명소로 탈바꿈하기 위한 킹 살만 국제공항 건설 등 관광산업 확대에 1조달러(약 1338조원)를 투자할 방침이다.

사우디 정부는 킹 살만 국제공항이 완공되면 수용 가능한 관광객 수를 점차적으로 늘려 2050년까지 한 해 최대 1억8500만명을 수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단 2030년까지 1억200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 규모를 확보할 계획이다.


당초 외국인 관광객 입국에 보수적이었던 사우디는 킹 살만 국제공항 건설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관광 산업 확대에 뛰어들 예정이다.

왕세자인 동시에 실질적 통치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은 석유에만 의존했던 기존의 시스템에서 벗어나는 경제 다각화에 대한 열망을 꾸준히 드러냈다.

2030년까지 1억명의 해외 방문객을 유치하겠다는 것도 경제 다각화를 꿈꾸는 그의 계획 중 하나다.


킹 살만 국제공항은 국내외 항공사들과 계약을 맺고 다양한 국제노선을 운영할 방침이다.

현재까지는 아랍에미리트 항공, 카타르 항공, 터키 항공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공항은 완전한 신재생에너지로 운영될 예정이지만 이를 위한 구체적인 추가 예산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