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경매 열기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면서 서울은 올해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오늘(7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의 경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6월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 1천330건 가운데 599건이 낙찰(낙찰률 45.0%)됐습니다.
낙찰률은 전달(42.8%)과 비교해 2.2%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낙찰가율은 같은 기간 94.3%에서 93.8%로 0.5%p 하락하면서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지옥션은 "매매 시장의 매물 적체와 이달부터 강화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규제 강화,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이 영향을 끼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평균 응찰자 수도 6.1명으로 전달(7.2명)보다 줄었습니다.
반면 서울의 경우 아파트 낙찰률(56.1%)과 낙찰가율(110.0%)이 모두 전달 대비 상승하며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강남권 고가 아파트가 높은 금액에 낙찰되면서 서울 지역의 전체 낙찰가율을 끌어올렸습니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달(3.8명)과 비슷한 3.6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경기 아파트 경매 지표는 모두 하락했습니다.
낙찰률은 46.4%로 전월(54.6%) 대비 8.2%p 하락했고, 낙찰가율은 90.7%로 전월(93.7%)보다 3.0%p 낮아지면서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평균 응찰자 수 역시 8.0명으로 전달(9.3명) 대비 감소했습니다.
인천 아파트 낙찰률은 50.8%로, 전달(42.6%)에 비해 8.2%p 상승했습니다.
다만 낙찰가율 88.8%로 전월(96.8%) 대비 8.0%p 하락하면서 2020년 12월 이후 1년 6개월 만에 80%대로 떨어졌습니다.
평균 응찰자 수도 전월(6.6명)보다 줄어든 5.4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간 중저가 아파트 위주로 낙찰가율이 강세를 보였던 경기·인천 아파트의 법원 경매 열기가 완연히 꺾인 것입니다.
지방 광역시 중에서는 아파트 낙찰가율이 대전(88.4%)에서만 상승했습니다.
대전 지역의 아파트 낙찰가율은 전월(85.5%) 대비 2.9%p 상승했으나 2개월 연속 90%대를 밑돌고 있습니다.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81.3%로, 2014년 1월(81.1%)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울산(93.3%), 부산(95.9%), 광주(96.0%)는 전달 대비 각각 3.3%p, 1.4%p, 1.0%p 하락했습니다.
8개 도에서는 강원 지역의 아파트 낙찰가율이 108.2%로, 전달(99.3%) 대비 8.9%p 오르면서 3개월 만에 100%대를 회복했습니다.
강릉시와 춘천시를 중심으로 공시가격 1억원 미만 아파트가 강세를 보였다고 지지옥션은 전했습니다.
이에 반해 전남(87.4%)은 전월 대비 18.7%p나 떨어졌고 경북(91.9%), 충남(90.6%), 경남(89.5%), 전북(85.8%), 충북(84.5%)은 한 자릿수의 하락 폭을 나타냈습니다.
단 1건이 낙찰된 제주와 세종은 각각 100.0%와 71.6%의 낙찰가율을 기록했습니다.
[ 박소민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