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유럽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줄이면서 유럽 전력 선물가격이 역대 최고치까지 치솟았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유럽에너지거래소(EEX)에서 독일의 내년 전력 선물가격은 이날 메가와트시(㎿h)당 345.55유로(약 45만9천700원)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프랑스 전력 선물가격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h당 398유로(약 52만9천300원)대를 나타냈습니다.

유럽 전력 가격의 상승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의 제재를 받는 러시아가 유럽으로 에너지 수출을 제한하면서 동절기 발전용 천연가스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러시아는 정비 작업을 이유로 오는 11일부터 21일까지 독일에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주 경로인 '노르트스트림' 파이프라인 가동도 중단할 계획입니다.

러시아는 이미 지난달 16일부터 설비 수리 지연을 이유로 노르트스트림 가스관을 통해 독일로 보내는 천연가스를 60% 줄였습니다.

블룸버그는 표면적으로는 정비를 위한 일시 공급 중단이지만, 서방의 제재에 반발하는 러시아가 독일 등을 길들이기 위한 조치라는 평가가 나온다면서 정비 후에도 노르트 스트림이 정상 가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독일과 프랑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독일 의회는 7일 동절기용 연료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지 않은 발전소의 가동을 정부가 제한할 수 있도록 허용한 법안에 대해 표결할 예정입니다.

8일에는 재정적으로 어려운 에너지 회사의 지분을 정부가 인수할 수 있도록 규정한 법안에 대해 표결합니다.

이 법안은 러시아에서 가스를 사지 못하고 더 비싼 현물시장에서 가스를 조달하느라 재정 상황이 나빠지면서 정부에 구제금융을 신청한 에너지 회사 유니퍼를 지원하기 위해 독일 정부가 마련했습니다.

유럽 최대 에너지 회사 중 하나인 유니퍼는 러시아 측 가스공급 중단으로 다른 곳에서 더 비싼 천연가스를 사들이면서 하루 약 3천만 유로(약 399억 원)씩 손실을 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프랑스는 안정적인 에너지 시장 안정을 위해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운영하는 전력공사(EDF)의 국유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엘리자베트 보른 프랑스 총리는 이날 하원 연설에서 정부가 보유한 EDF 지분을 기존 84%에서 100%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 부분적으로 민영화된 뒤 2005년 파리 증시에 상장한 EDF도 정부에 구제금융을 요청한 상태입니다.

[ 송재원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