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코로나19 백신접종과 자연감염에 따라 전 국민의 항체양성률이 높아져도 변이가 계속 발생하고 항체는 시간이 지나면 소실되므로 이론상 '집단면역'은 어렵다고 발표했습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김병국 백신효능평가팀장은 오늘(16일) 출입기자단 온라인 브리핑에서 "지속적으로 변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집단 구성원의 90% 이상이 항체를 보유하고 있어도 집단면역이 형성됐다고 말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4일 국민 95%가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했다는 발표 이후, 이 정도면 집단면역 형성으로 볼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궁금증이 나오자 방역당국이 집단면역은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입니다.
김 팀장은 집단면역에 대해 "특정 집단에서 바이러스 등 특정 병원체·감염원에 대해 집단 구성원의 60∼70% 이상이 특이적 항체를 형성해 특정 감염원의 집단 내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코로나19처럼 계속 변이가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변이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고, 항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차차 소실되는 경향을 보인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항체양성률이 90% 이상으로 높더라도 이론적으로 항체양성률만을 갖고 집단면역 형성을 말하기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최근 조사에서 나온 항체 양성자의 항체 수치는 개개인 면역도 수준에 따라 다양하고, 어느 정도의 항체 효과가 바이러스 방어를 나타내는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방대본이 올해 1∼4월 전국 16개 시도에서 10세 이상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1천6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에서 94.9%가 항체를 갖고 있다고 나타났습니다.
방대본은 이 조사에 이어 분기별 1만 명씩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전 국민 항체양성률 조사를 7월부터 착수할 예정입니다.
[ 송재원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