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1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고,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정책에 힘이 실리면서 하락했습니다.
1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80.00포인트(2.73%) 하락한 31,392.79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6.96포인트(2.91%) 하락한 3,900.8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14.20포인트(3.52%) 급락한 11,340.02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월가 예상치를 웃돈 5월 CPI와 미국 연준의 빅스텝 금리 인상 기대에 따른 미 국채수익률 상승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지난 10일 미국 노동부는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대비해 8.6%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1981년 12월 이후 41년 만에 물가가 가장 빠른 속도로 오른 겁니다.
5월 CPI 상승률은 지난 3월에 기록했던 8.5% 상승도 뛰어넘었습니다.
5월 CPI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 전망치이자 전월치인 8.3%도 넘어섰습니다.
5월 수치는 계절 조정이 된 전월 기준으로도 1.0% 올라 WSJ 전망치인 0.7%보다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주거비, 에너지 가격, 식음료 가격이 일제히 오르며 미국의 기록적인 물가 상승률을 악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에서는 미국 연준의 강도 높은 긴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긴축 우려에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한때 3.17%대까지 급등했습니다.
채권 금리 상승은 뉴욕증시 고성장 기술주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뉴욕증시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는 주가가 5%대 하락했습니다.
테슬라와 애플도 3%대 하락했고, 아마존도 5% 넘게 떨어졌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