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경기도를 남북으로 나누는 이른바 '분도'에 대한 주민투표가 올해 안으로 추진될 전망입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 인수위원회가 오늘(9일) 출범한 가운데, 인수위에는 경기북도 설치를 위한 특별위원회가 구성됩니다.
한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한강을 중심으로 북쪽에 자리한 경기도 10개 시·군.
고양과 의정부, 남양주, 파주 등 경기 북부지역 면적은 경기도 전체의 44.6%에 달합니다.
하지만 북부지역 인구는 5월 말 기준 경기도 전체 인구의 25%인 353만 명에 불과합니다.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군사시설보호구역 등 각종 규제로 발전이 늦춰지면서 지역 격차가 벌어졌기 때문입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은 성장잠재력에 기반한 경기북도 설치를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습니다.
▶ 인터뷰(☎) : 김동연 / 경기지사 당선인(8일, KBS라디오)
- "그동안 중복 규제로 잘 보존된 환경과 여러 가지 여건들이 경제부총리까지 한 제 눈으로 보기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성장 잠재력이 높은 곳이다."
김 당선인은 인수위원회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입니다.
기존 북부지역에 김포를 포함한 11개 시·군을 묶어 새로운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만드는 안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인수위에서 마련한 청사진을 바탕으로 올해 안에 주민투표를 실시하고 취임 후 전담팀을 만든다는 구상입니다.
주민투표에는 경기도가 행정안전부에 직접 요청하는 것과 경기도의회 의결을 받아 행안부와 국회에 통보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지만, 구체적인 안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 인터뷰(☎) : 경기도지사 인수위원회 관계자
- "주민투표를 하기 전에 거쳐야 될 여러 가지 공청회 등 다양한 의견 청취 과정들이 있어야 돼서요. 그런 것들을 좀 거친 다음에 이뤄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
현재까지 주민여론은 분도에 찬성하는 쪽이 우세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난해 12월 리얼미터가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경기북도 설치 방안에 찬성한다는 답변이 44.6%, 반대는 37.3%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지방선거를 앞두고 북부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여론조사 역시 찬성이 58.4%로 반대보다 두 배 가량 높았습니다.
경기도 분도는 지난 1987년 대선에서 처음 언급된 이후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뜨거운 감자'입니다.
경기북도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은 지난해 6월 국회 행안위 소위원회에 상정됐지만, 현재 계류돼있습니다.
김동연 당선인의 경기특별자치도 공약 추진으로 실질적인 분도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한웅희입니다.[mkhlight@mk.co.kr]
영상 : 최연훈 기자 [mkcyh@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