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검찰 출신 인사들이 대거 윤석열 정부의 요직을 꿰차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적재적소에 유능한 인물을 쓰는 것이라는 입장인데요.
이같은 상황에서 금융감독기관 수장인 금융감독원장에도 검찰 출신 인사가 내정돼 '검찰 정부'라는 논란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김용갑 기자입니다.
【 기자 】
오늘 아침 윤석열 대통령의 출근길.
윤 대통령이 최근 불거지고 있는 검찰 편향 인사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대통령
- "(정부 요직을 검찰 출신이 독식한다는 비판이 있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인사 원칙은 적재적소에 유능한 인물을 쓰는 원칙입니다."
윤석열 정부 1기 내각 인사에는 검찰 출신이 대거 포진했다는 비판에 능력을 강조한 겁니다.
앞서 윤 대통령은 국가정보원 기조실장에 조상준 전 대검 형사부장을, 국무총리 비서실장에 박성근 전 서울고검 검사를 임명했습니다.
초대 공정거래위원장에도 검사 출신인 강수진 고려대 교수가 유력하고 검토되고 있습니다.
이미 대통령실 비서관급 이상 참모 가운데 6명, 정부부처의 장차관급에 6명이 검찰 출신입니다.
금융권에도 검찰 출신이 등장했습니다.
금융위원장과 함께 금융수장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금융감독원장에 이복현 전 부장검사가 내정됐습니다.
이 전 부장검사는 1972년생으로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하고 공인회계사에 합격한 이후 사법시험을 통과했습니다.
윤 대통령의 검사 시절 국정원 댓글 수사와 국정농단 특검 수사를 함께한 대표적인 '윤석열 사단'으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이같은 인사에 대한 우려도 지속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성환 / 민주당 정책위의장
- "윤석열 정권에는 이례적으로 검찰 출신이 임명된 직책이 헤아릴 수조차 없습니다. 심지어 금융감독원장과 공정거래위원장까지 검찰 출신 인사가…"
금융감독원장에 검찰 출신 원장이 내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금융위원회는 이 내정자에 대해 "금융기업의 준법 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소비자보호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적임자로 평가돼 신임 원장으로 제청했다"고 밝혔습니다.
매일경제TV 김용갑입니다. [ gap@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