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가공식품 물가도 10년 4개월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습니다.

가공식품 품목 대부분이 오른 가운데 외식 물가도 상승하는 등 밥상 물가의 높은 오름세가 지속되는 양상입니다.

지난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지수는 109.19(2020년=100)로 1년 전보다 7.6% 올랐습니다.

이는 2012년 1월(7.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품목별로 보면 국수(33.2%), 밀가루(26.0%), 식용유(22.7%) 등이 크게 올랐습니다.

또 밀과 팜유 가격의 상승 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소금은 1년 전보다 30.0% 상승했습니다.

천일염 생산량 부족 등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두 자릿수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소금은 이달에도 오름폭이 컸습니다.

식초(21.5%), 부침가루(19.8%), 된장(18.7%), 시리얼(18.5%), 비스킷(18.5%), 간장(18.4%) 등 22개 품목이 10% 이상 올랐습니다.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69개 품목의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촉발된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이 가공식품 전반의 물가를 끌어올리는 양상입니다.

뿐만 아니라 외식물가도 오름세입니다.

외식물가는 1년 전보다 7.4% 올랐는데 이는 1998년 3월(7.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갈비탕(12.2%), 치킨(10.9%), 생선회(10.7%), 자장면(10.4%) 등은 10% 이상 올랐습니다.

전체 39개 품목 중 김밥(9.7%), 라면(9.3%), 쇠고기(9.1%), 피자(9.1%), 짬뽕(8.9%) 등 31개 품목의 가격이 전체 소비자물가(5.4%)보다 많이 올랐습니다.

농산물의 출하량 증가 등으로 오름세가 둔화하는 듯했던 농축수산물도 지난달 4.2% 오르며 상승 폭을 키우고 있습니다.

특히 사료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축산물이 12.1% 상승했습니다.

수입 쇠고기(27.9%), 돼지고기(20.7%), 닭고기(16.1%) 등이 크게 올랐습니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전년 동월비 기준)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외식이 0.94%포인트로 4월(0.84%포인트)보다 커졌습니다.

가공식품(0.62%포인트→0.65%포인트)과 농축수산물(0.17%포인트→0.37%포인트)의 기여도도 4월보다 커지는 등 식품 가격의 오름세가 전체 물가 상승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세계 곡물과 육류 가격의 상승세가 유지되면서 당분간 먹거리에 대한 부담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를 보면 곡물 지수는 전월보다 2.2%, 육류 지수는 0.5% 각각 상승했습니다.

먹거리 가격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전선 축소, 유가의 하락세 등이 나타나야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 박소민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