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던 세계 식량 가격이 두 달 연속 소폭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곡물과 육류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57.4로 직전 달보다 0.6% 하락했습니다.
FAO는 24개 품목의 국제가격 동향을 조사해 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의 5개 품목군별로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발표합니다.
이 지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지난 3월, 1996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인 159.7을 기록했다가 4월 158.5로 소폭 하락한 데 이어 지난달 더 내렸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유지류 지수가 3.5% 하락했습니다.
팜유는 인도네시아의 수출 제한 조치 해제의 영향으로, 해바라기씨유는 우크라이나의 물류 정체로 재고가 축적되며 가격이 각각 내렸습니다.
유제품과 설탕 지수도 각각 3.5%, 1.1% 하락했습니다.
반면 곡물 지수는 전월보다 2.2% 상승했습니다.
밀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주요국의 작황 부진에 더해 인도의 수출제한 조치의 여파로 가격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옥수수의 경우에는 미국의 작황이 일부 개선되고 남미의 수확기가 도래함에 따라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육류 지수도 0.5% 상승했는데 가금육이 우크라이나의 공급망 장애, 유럽·중동 내 수요 증가 등으로 가격이 올랐습니다.
이에 반해 돼지고기는 서유럽의 수출 여력 확대 등으로 가격이 내렸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