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메모리에 이어 시스템(비모메리) 반도체 제품에 대해서도 국제 환경 인증을 받았습니다.
삼성전자는 영국 카본 트러스트에서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 제품 4종에 대해 ‘제품 탄소 발자국’을 획득했다고 오늘(9일) 밝혔습니다.
카본 트러스트는 2001년 영국 정부가 설립한 비영리 기관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기술 지원·정보 공유·인증 등을 담당합니다.
제품 탄소 발자국은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발생하는 탄소를 ‘탄소 발자국 산정 표준(PAS 2050)’에 맞춰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입니다.
제품 제조에 필요한 전기·용수·가스 등과 원료 생산·수송에서 발생하는 탄소량을 국제 심사 기준에 따라 평가합니다.
반도체는 복잡한 제조 공정을 거치는 데다 사용하는 원료의 종류와 양이 많아 인증 과정이 까다롭습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제품 탄소 발자국을 획득한 제품은 모바일 SoC(시스템 온 칩) ‘엑시노스2100’, 모바일 이미지센서 ‘아이소셀(ISOCELL) HM2’, 디지털TV SoC ‘S6HD820’, 타이밍 컨트롤러 ‘S6TST21’ 등 4종입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반도체 공정 중 식각과 증착 공정에 사용하는 가스양을 줄였으며 온실가스 분해 장치의 처리 효율을 높였다”며 “소비전력 효율화를 위한 솔루션을 적용해 탄소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휴 존스 카본 트러스트 인증위원장은 “제품 탄소 발자국은
삼성전자가 탄소 배출량을 줄여가겠다는 의지를 고객에게 제시하는 지표”라고 전했습니다.
장성대
삼성전자 DS부문 지속가능경영사무국 전무는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제품 탄소 발자국 획득과 저감 인증을 확대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2019년 반도체 업계 최초로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메모리 제품에 대한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았고, 2020년에는 탄소 저감 인증까지 취득했습니다.
또한, 2021년 6월에는 반도체 전 사업장에 대해 '탄소, 물, 폐기물 저감' 인증을 받고 'Triple Standard' 라벨을 업계 최초로 취득한데 이어, 시스템 반도체 제품까지 환경 인증 대상을 확대했습니다.
삼성전자는 현재까지 총 14개 제품에 대해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 왕성호 기자 / wsh0927@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