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인체 3차원 암 게놈 지도 400여 개 구축

3차원 암 게놈 지도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인경 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병욱 박사 연구팀이 400여 개의 인체 3차원 암 게놈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공개했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게놈은 한 생물체가 갖는 유전정보의 총합을 말하는데, 유전자를 발현하는 전사 지역과 이를 제외한 비 전사 지역으로 나뉩니다.

기존 1차원 게놈 지도 연구는 전체 게놈의 1∼2%에 달하는 전사 지역에 대한 해독에 집중돼 있습니다.

3차원 게놈 지도는 나머지 98%의 비 전사 지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유전 정보까지 포함한 유전자 지도입니다.

수천∼수억 개 염기가 사라지거나 중복되는 등 한꺼번에 바뀌는 대규모 구조 변이의 경우 대부분 비 전사 지역에서 일어납니다.

이 때문에 1차원 게놈 서열 분석만으로는 암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공개된 암 유전체의 3차원 암 게놈 지도를 확보해 세계 최대 규모인 400여 개의 3차원 암 유전체 지도를 작성했습니다.

정인경 교수는 "비 전사 지역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구조 변이는 암 유전자 발현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암 발병 원리를 이해하고 항암제를 개발하는 데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핵산 연구'(Nucleic Acid Research) 지난달 27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신민호 인턴기자 / mino@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