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美 관세협상,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도 논의중”

“농축산물 민감성 충분히 인지…국익 최우선 협상”
美 ‘최종안 요구설’에 대통령실 “전형적 협상 전략”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사진=대통령실사진기자단)
대통령실은 30일 한미 간 진행 중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우리가 감내할 수 있고 한미 간 상호 호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패키지를 구성해 실질적인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익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최선을 다해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일부 외신이 미국 측이 한국에 ‘최선의 최종안’을 요구했다고 보도한 데에 대해 김 실장은 “협상 상대는 항상 그런 주장을 한다.

협상에서 많은 것을 얻기 위한 전형적인 태도”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는 한국이 과도한 양보를 강요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가 명확한 원칙을 갖고 협상에 임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불안감 확산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김 실장은 협상 분야에 대해 “조선 분야에서 훨씬 더 심도 있는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조선 이외에도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등 대한민국이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감한 농축산물 시장 개방 가능성과 관련해선 “정부는 농축산물이 가진 민감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그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국익 최우선 원칙 아래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의 잇따른 방미에 대해서는 “정부가 요청한 것이 아니라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나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현대차는 자동차가 대미 수출에서 핵심이고 한화는 한화오션을 통해 조선사업 관련 이슈가 있다”며 “이재용 회장 역시 반도체 관련 품목 관세 문제 등 중요한 현안이 있어 방문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간기업이 미국 내에서 쌓아온 네트워크가 상당하다”며 “정부는 기업과 협력해 필요시 정보를 공유한다”고 말했다.

또 “민간에서 들은 미국 측 메시지를 정부가 전달받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