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한미 상호관세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기존 예고보다 낮은 15% 관세율이 적용될 예정인데요.
그간 성사되지 못해던 한미 정상회담도 2주내로 이뤄질 전망입니다.
김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한국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이 15%로 조정됐습니다.

기존 25%보다 10%포인트 낮은 수치로, 일본과 유럽연합이 타결했던 상호관세율과 같은 수치입니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 대표단은 현지시간 30일 백악관을 찾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했습니다.

약 한 시간 삽십분 가량의 협상 후 트럼프 대통령은 SNS인 트루스 소셜을 통해 "미국이 한국과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합의에 동의했음을 기쁜 마음으로 발표한다"고 밝혔습니다.


구 장관은 면담 후 브리핑에서 1천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협력 패키지, 이른바 '마스가 프로젝트'가 무역협상 타결에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마스가 프로젝트는 미국 조선업 재건을 직접 지원하는 사업으로,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과 조선 인력 양성·선박건조 ·유지보수 등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관세율 인하의 대가로 한국은 미국에 3천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금을 제공합니다.

1천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기타 에너지 제품도 구매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서 "한국의 투자 목적을 위해 큰 액수의 돈을 투자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는데,

정확한 액수는 2주 내로 백악관에서 있을 이재명 대통령과의 양자회담에서 구체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실은 "회담 날짜는 한미 외교 라인을 통해협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인터뷰 : 김용범 / 대통령실 정책실장
- "(트럼프 대통령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에게 다음 주라도 날짜를 잡아라 그랬다는데…한미 외교 라인에서 그 문제를 구체적 날짜와 방식 이런 거를 협의를 하게 될 것으로 봅니다."

방위비와 미국산 무기 구입 등의 안보 문제 역시 정상회담에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 실장은 15%의 관세 역시 이전과는 다른 통상환경인 만큼, 기업들을 꾸준히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부과를 하루 남기고 타결한 이번 협상이 산업계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