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개월 사이 1000억여원 해약
일정대로 추진, 가입자 불안 막아야
5대 손보사 이전과 재매각 추진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가교보험사를 만든 뒤 5개 손해보험사로 계약을 이전하기로 했던 MG손해보험이 재매각 절차에 나섰지만, 향후 논의 과정에서 일정 등의 방향성이 바뀌면 가입자들이 불안해하며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더욱이 올해 3개월 사이에만 가입자들은 장기 저축성 상품 등을 비롯해 1000억원이 넘게 계약을 해약하는 등 해약률도 급증했다.
해약률 급증…3개월 만에 1000억원 돌파
22일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실이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제출받은 ‘MG손해보험의 상품별 해약률·해약 규모’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MG손보 가입자가 상품을 해약해 받은 환급금은 1005억원에 이른다.
3개월 남짓 동안 지난해 한 해 전체의 해약금인 1369억원의 73%를 차지하는 규모다.
특히 지난 2015년과 2016년 해약환급금인 각각 936억원, 957억원마저 3개월 사이 훌쩍 넘은 것이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 간 MG손보의 해약환급금은 평균 한 해 약 1414억여원이다.
상품별로 해약률을 보면 특히 장기 저축성 보험의 해약이 급등했다.
지난해 장기 저축성 보험의 해약률은 3.7%였지만, 올해 3월 말 기준 10.4%로 올랐다.
MG손보는 앞서 5대 손보사(
삼성화재·메리츠화재·KB손보·
현대해상·
DB손해보험)로 계약이전이 결정되기 전까지 청산 이야기가 나오면서 가입자들이 일시적으로 해약했다고 본다.
저축성 보험은 목돈 마련을 위한 목적이 큰 만큼, 월 납입 보험료가 높아 (불안감이 커져) 해약률이 올랐다는 것이다.
현재는 계약이전 또는 재매각의 방안이 확정된 만큼 불안정한 위험이 해소, 보험금 지급 등 관리는 원활하다고 설명했다.
가교보험사에서 재매각까지…불확실성 지속 우려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일각에서는 MG손보의 진행 방향성이 계약이전에서 재매각 병행으로 바뀐 만큼 일정을 차질 없게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앞으로 계약이전을 위해서도 실사 등을 비롯해 5대 손보사와 협의 과정이 남아 있는데, 이 과정에서 사태가 장기화하면 가입자의 불안만 늘어날 수밖에 없어서다.
앞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가교보험사에 대한 보험업 조건부 허가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가칭 예별손해보험사를 설립, MG손보의 모든 보험계약에 대한 계약이전 절차를 올해 3분기까지 마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2026년 말까지 5대 손보사로 계약 이전을 추진, 이 기간 내 매각도 추진할 예정이다.
당국 관계자는 “(적합한 인수자가 없을 경우) 5대 손보사로 계약 이전이 이뤄진다면 최대한 지연되지 않게 추진한다는 게 기본 전제 조건”이라며 “(적합한 인수자가 있을 땐) 최대한 빠르게 추진할 예정이며 가입자가 불편을 겪지 않게 일정에 맞춰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MG손보는 부실 금융기관으로 선정된 뒤 잇달아 매각에 실패했다.
지난해 메리츠화재가 인수 의사를 나타내며 우선협상자가 된 뒤 협의를 이어갔지만 MG손보 노조는 고용 승계·법적 절차 미흡 등을 이유로 반발했다.
결국 메리츠화재는 지난 3월 인수를 포기, 금융당국은 임시 보험사이자 기존 계약을 관리할 가교보험사를 설립, 5개 손보사에 계약이전 절차를 추진하던 중 재매각을 병행하기로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