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정부가 주택 구입용 대출을 6억원으로 제한하자 서울에서도 극명한 온도차가 감지되고 있다.
강남 3구 등을 중심으로 상급지 부동산 시장이 숨을 죽인 가운데 강북시장에서는 ‘풍선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감지되면서다.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고강도 대출 규제가 본격화하면서 ‘집값 상승’의 진앙이자 대출 규제의 핵심 대상으로 꼽히는 서울 강남권 부동산에 매수 문의가 뚝 끊긴 상황이다.
향후 시장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매물이 주는 ‘매물 잠김’ 현상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공인중개사무소도 실수요자들도 ‘혼란’
업계에서는 한동안 전체 거래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한다.
대다수의 매수자가 혼란스러운 시장 상황을 관망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면서다.
특히 6억원 이상 대출이 많았던 강남 3구의 경우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대출 규제 시행을 하루 앞둔 27일에는 서둘러 계약을 체결하는 이들로 공인중개소 일대가 인산인해를 이루기도 했다.
서울 강남구 한 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대출 규제 이후 바로 다음 날부터 규제가 시행된다는 소식에 발표 직후 계약을 한꺼번에 앞당겨 정신이 없었다”면서도 “바로 다음 날부터는 매수 문의도 전혀 없어졌다”고 전했다.
 |
서울 송파구 한 상가의 부동산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반면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금관구(금천·관악·구로)를 포함한 강북권 시장은 강남 3구와 달리 매수 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
새 대출 규제에 따르면 평균 시세가 30억원을 웃도는 서초구와 강남구에서 집을 사려면 25억∼26억원 이상 들고 있어야 하고, 용산과 송파는 최소 16억∼17억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노도강, 금관구와 중랑을 포함한 7개 자치구는 아파트 평균 시세가 6억∼8억원대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70%를 적용해도 6억원 이내에서 대출받으면 아파트를 살 수 있어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해당 지역 아파트 매도인들을 중심으로 호가를 올려 잡는 움직임도 감지됐다.
“강남지역 아파트 주춤…‘풍선효과’ 우려”
전문가들도 이번 대출 규제로 인한 ‘풍선 효과’를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대출 규제에 초점을 두고 실질적인 공급 확대 방안은 빠진 점과 사실상 20~30대 젊은 실수요층의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진 데다 ‘풍선효과’로 중저가 주택이 밀집한 노도강 등 서울 외곽지역과 경기·인천지역 아파트 가격이 들썩일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최근 급등하던 서울 집값 상승에 제동이 걸리면서 5~6월 과열 양상을 보였던 한강 벨트 주거지 내 아파트 거래량도 숨을 고를 전망”이라며 “한강변 일대 아파트 호당 평균 가격이 약 15억원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자체 자본을 9~10억원 정도 준비하지 않고선 대출을 통한 주택 구입이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급지 갈아타기와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강남권과 한강변 일대 집중되는 현상은 일부 주춤하겠으나 6억원에서 8억원대 매입이 가능한 노도강과 금관구 등 서울 외곽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발현되지 않는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