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출처 = 롯데물산] |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롯데 만의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탄소중립 로드맵을 기반으로 계열사들과 협력해 친환경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행보가 대표적이다.
또 고객, 주주, 임직원과 지역사회를 비롯한 모든 이해관계자과의 협력을 통한 E
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도 돋보인다.
롯데는 지난 2022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환경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소중립 로드맵 1.0’을 수립했다.
이어 2023년 ‘탄소중립 로드맵 2.0’으로 기존 로드맵을 업데이트했다.
이에 따라 각 그룹사는 오는 2050년까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을 목표로 삼고 있다.
‘탄소중립 로드맵 2.0’에는 2018년 대비 국내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을 2030년까지 22%, 2040년까지 61%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담았다.
롯데는 재생 에너지 확대·수소 에너지 개발·탄소 포집 기술 개발·무공해차 전환·에너지 효율 개선·친환경 원료 및 연료 전환이라는 6대 감축수단을 선정, 그룹 친환경추진단을 구성해 탄소 중립 이행을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지난 2023년에는 2022년에 이어 목표 대비 탄소 배출량을 9.3% 초과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롯데는 시민들에게 깨끗한 도심 속 쉼터를 선물하기 위해 2021년 8월부터 석촌호수 수질 개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1년 당시 수심 0.6m까지만 보이던 석촌호수는 롯데의 꾸준한 관리 덕분에 최대 2m 이상까지 보일 정도로 맑아졌다.
지난해 수질환경기준 항목에서는 대부분 1등급 판정을 받았다.
이처럼 맑아진 석촌호수에서 롯데물산은 지난 2022년부터 매년 여름 ‘롯데 아쿠아슬론’을 개최하고 있다.
롯데 아쿠아슬론은 석촌호수를 두 바퀴 수영한 뒤 롯데월드타워 1층부터 123층까지 계단을 오르는 철인 2종 대회다.
지난 3년간 2000명이 참가하며 철인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났다.
 |
지난 3월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2025 롯데 행복나눔 동행콘서트’ 모습. [사진출처 = 롯데지주] |
파트너사와 함께 성장하기 위한 노력도 눈길을 끈다.
파트너사 해외 판로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대표적이다.
롯데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태국에서 처음 열린 ‘롯데-대한민국 엑스포’ (이하 브랜드 엑스포)에는 지난해까지 총 1460여개 중소기업이 참여해 약 1만 건의 상담을 진행했다.
상담 실적은 10억 9000만달러(한화 약 1조6000억원)에 달한다.
지난 5월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브랜드 엑스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유럽 바이어들이 밀집한 비즈니스 허브인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 개최됐다.
유럽 전체로는 2022년 독일 상담회 이후 두 번째다.
국내 중소기업 50개사와 프랑스, 독일, 스페인 등 유럽 13개국 바이어 120여개사가 참여한 수출상담회에서 총 511건의 상담과 6396만 달러(한화 약 908억원) 규모의 상담실적을 달성했다.
롯데는 지난해 3월 건전한 기업지배구조 구축을 위해 10개 상장사에 ‘선임 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했다.
선임 사외이사 제도는 사내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을 경우, 사외이사를 대표하는 선임 사외이사를 임명해 균형과 견제를 도모하는 제도다.
선임 사외이사 제도 도입으로 이사회 내에서 독립적인 의사결정과 감시 기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롯데지주는 모든 부서의 컴플라이언스 리스크를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통제 목표를 수립하는 등 ISO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규범준수경영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룹 내 모든 임직원들에게는 컴플라이언스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납품업체와의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거래행위 근절 활동과 계열사 내부 활동 모니터링도 진행하고 있다.
롯데지주 관계자는 “각 부서별로 리스크 식별∙리스크 평가∙리스크 통제∙모니터링∙보완 및 개선의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더욱 확실히 구축함으로써 실효적 운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