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중저신용자도 금융기회 제공
 |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왼쪽)와 황종섭 KCB 대표(오른쪽)가 경기도 판교의 카카오페이 오피스에서 진행한 대안신용평가 서비스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카카오페이] |
카카오페이가 국내 대표 종합신용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와 새로운 대안신용평가모델 ‘
카카오페이 스코어’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했다고 26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황종섭 KCB 대표를 비롯한 주요 임직원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새로운 대안신용평가모델인 ‘
카카오페이 스코어’ 출시하게 됐다.
카카오페이 스코어 서비스는 다음달 오픈될 예정이다.
또 상대적으로 신용 이력이 부족해 대출 등 금융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회초년생·중저신용자·영세소상공인 등 신용거래이력 부족자(씬파일러)에게 실질적인 금융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즉 ‘포용금융’ 실현을 공동 목표로 삼고 더욱 공고한 협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카카오페이 스코어는 국내 최초 2000만명이 선택한 마이데이터와 결제·송금·선물하기·소비패턴 등 다양한 비금융 데이터를 포함, 자체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모델이다.
결제∙송금부터 대출∙투자∙보험 등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거래가 이뤄지는 생활 금융 플랫폼인
카카오페이의 방대한 데이터에 KCB가 20여 년간 쌓아온 정교한 신용평가 전문성과 노하우가 더해지는 것이다.
 |
카카오페이 CI.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양사는 기존 신용거래 중심 평가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개인의 신용도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통 신용평가사 기준으로는 대출 등의 기회를 얻기 어려웠던 사회초년생, 학생, 중저신용자 등의 씬파일러들에게 금융의 기회를 열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카카오페이 스코어는 단순히
카카오페이 대출비교 서비스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향후 금융사 자체 채널에서 이뤄지는 대출 및 카드 신청에도 적용범위를 확대된다.
전 금융권으로의 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KCB는 “이번 제휴를 발판 삼아 KCB의 신용평가 역량과 경험에
카카오페이의 양질의 데이터와 기술이 더해졌다”며 “향후 데이터 기반의 금융 생태계를 더욱 견고히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페이는 “
카카오페이 스코어는 양사의 강점이 시너지를 발휘해 신용평가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사용자에게 더욱 건강하고 편리한 금융생활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신용거래 이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사용자도 합리적으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포용금융 실현을 위해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