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사이에만 5배가 올랐다”…다시금 관심받는 ‘중대형 아파트’

양산자이 파크팰리체 투시도. [사진 출처 = GS건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소형 주거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던 흐름 속에서도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꾸준하다는 평가다.


1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20~2024년) 전국 아파트 공급물량 98만4360가구 중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아파트는 11만2224가구(11.4%)로 집계됐다.


이 기간 중소형(60~85㎡) 아파트는 67만5918가구(68.7%)가 공급됐고, 소형(60㎡ 이하)은 19만8595가구(20.2%)였다.


이처럼 희소성이 커지면서 중대형 아파트는 가격 상승률 면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20년 기준 전국 중대형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1951만원이었지만, 작년에는 2328만 원으로 약 19.3%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체 평균 상승률(9.5%)은 물론, 소형(7.7%)과 중소형(5.9%)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수요 역시 꾸준히 늘고 있다.

중대형 아파트의 매매 거래 비율은 2022년 7.7%에서 2023년 10.3%로 증가했고, 지난해 전체 거래량의 10.8%(5만2957가구)를 차지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청약 시장에서도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는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난해 10월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서 분양한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전용 94㎡는 1순위 청약 경쟁률이 무려 511대 1에 달했다.

과천시 별양동 ‘프레스티어자이’ 전용 99㎡는 206.5대 1, 인천 송도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 101㎡는 51.2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펜트하우스는 중대형 평형 중에서도 상징적인 존재로 분류된다.

실제 올해 2월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234㎡ 펜트하우스는 165억원에 거래됐으며,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234㎡는 2014년 35억에서 지난해 180억원까지 상승해 10년 새 5배 이상 오르기도 했다.


이 가운데 GS건설은 이달 양산시 평산동에 ‘양산자이 파크팰리체’를 선보일 예정이다.

GS건설은 충남 아산시 탕정면 일원에도 ‘아산탕정자이 센트럴시티’를 분양한다.


효성중공업은 경기도 광주시 역동 28-3 일원에 ‘해링턴 스퀘어 리버파크’ 분양을 앞뒀다.

SM스틸건설부문과 삼라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713번지 일원에 ‘클러스터용인 경남아너스빌’를, 코오롱글로벌은 7월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에서 ‘대전 하늘채 루시에르’를 분양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대형 아파트는 단순히 넓은 면적만으로 평가되기보다는 고급 주거에 대한 수요와 지역 내 위상, 브랜드, 주거 수준까지 함께 고려되는 종합적인 가치로서 인식된다”며 “공급이 적고 진입 장벽이 높은 만큼, 중대형 비율이 높은 단지는 부촌 형성의 중심이 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