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시 다정동 일대 아파트 전경.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 없는 이미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지난달 경매시장에서 세종시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면서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이 2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새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지난달 전국에서 진행된 아파트 2902가구에 대한 경매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낙찰률은 38.7%로 전월(40.1%) 대비 1.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눈여겨볼 만한 건 낙찰가율이 87.8%로 0.5%포인트 상승했다는 점이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을 나타내는 낙찰가율의 경우 2022년 7월(90.6%)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다.
낙찰률 하락에도 낙찰가율이 상승한 것은 세종시 아파트에 수요가 몰린 영향이다.
실제 지난달 세종시 아파트 낙찰가율은 97.7%로 전월(82.3%) 대비 15.4%포인트 급등했다.
세종시 아파트 낙찰가율은 최근 1년간 70~80%선에서 오르내렸으나 지난달 갑자기 90%대로 뛰어오른 바 있다.
업계에서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국회 세종의사당 신속 설치 등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
5월 전국 아파트 경매 지표. [사진 출처 = 지지옥션] |
이 기간 서울 아파트에도 수요가 몰리며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동반 상승했다.
낙찰률은 45.2%로 전월(44.3%)보다 0.9%포인트 상승했으며 낙찰가율은 전월보다 0.5%포인트 오른 97.7%를 기록했다.
지난 2022년 6월(110.0%) 이후 약 3년 만에 최고치다.
마포·성동·영등포구 등 비강남권에서도 고가 낙찰 사례가 늘어나면서 서울 전체 낙찰가율 상승을 견인했다.
경기도는 낙찰률은 전월보다 2.1%포인트 하락한 45.5%,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1.9%포인트 감소한 87.6%를 각각 나타냈다.
미분양 물량이 많은 평택시의 낙찰가율이 70%대에 그치며 전체 평균을 끌어내린 것으로 평가된다.
인천은 낙찰률이 35.4%로 전월(35.3%)과 비슷한 흐름을 유지했으나, 낙찰가율은 전달 대비 5.2%포인트 상승한 82.2%를 기록하며 5개월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청라·검단 등 인천 서구 일대 신축급 대단지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강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방은 지역별로 온도차가 감지됐다.
울산(87.2%)과 대전(81.9%)은 아파트 낙찰가율이 각각 전월 대비 3.2%포인트, 0.9%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광주(81.5%)는 1.4%포인트 하락했고, 부산(78.2%)도 1.0%포인트 떨어졌다.
대구(82.8%)도 낙찰가율이 0.7%포인트 하락하며 4개월간 이어지던 회복세가 꺾였다.
도별로 보면 전북(91.4%)이 8.5%포인트 급등했으며 경남(80.5%)은 2.6%포인트 오르며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80%선을 넘겼다.
경북(80.5%)도 0.4%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제주는 79.7%로 전월 대비 13.5%포인트 급락하고, 전남(79.4%)도 5.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