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미래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양자내성암호(PQC) 적용에 나섰다.


20일 LG유플러스에 따르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시스템에 PQC 기반 보안 체계를 적용했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PQC 시범 전환 지원사업의 일환이다.


PQC는 격자 기반 문제, 다변수 다항식 문제 등 양자컴퓨터로도 풀기 어려운 수학적 알고리즘을 활용해 설계된 차세대 암호 기술이다.

공개키암호화방식(RSA), 타원곡선암호화방식(ECC) 등 기존 암호체계가 양자컴퓨터로 인해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PQC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가상사설망(VPN), 가상데스크톱인프라(VDI), 디지털시험장(CBT) 등 주요 보안 인프라에 PQC 암호모듈을 적용한 뒤 실제 업무 환경에서 성능과 적용성을 검증한다.

특히 모바일 및 윈도 기반 VPN 구간, 인증 서버, 보안데이터베이스 등에 PQC 기술을 연계해 올해 안에 실증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PQC 알고리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허 기술을 적용했다.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알고리즘과 한국의 양자내성암호연구단(KpqC) 알고리즘 가운데 정보시스템 환경에 맞는 최적의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 2020년부터 PQC 기반 전용회선과 광전송장비(Q-ROADM)을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

올해 초에는 통합계정관리솔루션을 알파키를 출시해 기업 보안 서비스 라인업을 확대했다.

또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 사업을 통해 PQC 마이그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했다.

나아가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금융·공공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에 PQC 기술을 폭넓게 적용할 계획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