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VAC 리더스 서밋 서울 개최
AI 기반 열관리 기술 선보여
초대형 프로젝트 수행 사례 공개
현지 완결형 사업 구조로 확대
 |
LG전자가 19일 글로벌 냉난방공조(HVAC) 컨설턴트를 국내로 초청해 ‘LG HVAC 리더스 서밋 2025’를 개최했다. 컨설턴트들이 서울 마곡에 위치한 LG사이언스파크를 방문해 초대형 냉방기인 ’칠러(Chiller)‘를 살펴보고 있다. |
LG전자가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서 냉난방공조(HVAC)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인도,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7개국의 HVAC 컨설턴트를 국내로 초청해 ‘LG HVAC 리더스 서밋 2025(LG HVAC Leaders’ Summit 2025)’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서밋은
LG전자의 시스템 에어컨, 칠러,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을 소개하는 세미나 형식이다.
이번 행사에 초청된 HVAC 컨설턴트는 업무시설, 쇼핑몰 등 대형 건물의 용도와 규모,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해 HVAC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품의 선정과 공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B2B 고객이다.
LG전자는 올해 글로벌 사우스 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해 초청 대상을 인도뿐 아니라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까지 확대했다.
글로벌 사우스는 경제 성장률과 인적 자원이 풍부하고 제조업과 도시 개발 수요가 증가하면서 HVAC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는 유망 시장이다.
세미나에서는
LG전자의 대형 프로젝트 수행 역량을 보여주는 사례도 소개됐다.
LG전자는 싱가포르 투아스 지역의 초대형 물류센터에 고효율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 ‘멀티브이 아이(Multi V i)’를 공급했다.
이 프로젝트는 싱가포르 건축청의 친환경 건물 인증 프로그램인 ‘그린마크’ 최고 등급을 획득했으며,
LG전자는 유일하게 고객의 엄격한 조건을 충족해 주목을 받았다.
또
LG전자는 AI 기술을 적용한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도 선보였다.
고발열 부품에 냉각판을 부착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분배 장치(CDU)와 초대형 칠러를 활용한 공기냉각 솔루션을 소개해 관심을 끌었다.
서밋 참석자들은 이후
LG전자의 HVAC 기술이 실제 적용된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부산의 대형 주상복합단지, 파주의 대형 카페 등을 방문해 현장을 체험했다.
LG전자는 고객 맞춤형 설계 및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B2B HVAC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밋 개최 지역도 확대하고 있다.
지난 14일에는 케냐에서 아프리카 지역 HVAC 컨설턴트를 초청해 서밋을 개최했으며, 오는 6월에는 중동, 7월에는 중남미 지역 컨설턴트를 각각 한국과 파나마로 초청해 교류를 이어갈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해 말 HVAC 사업 성장을 본격화하기 위해 ES사업본부를 신설했다.
ES사업본부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HVAC 산업의 디지털화를 선도하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에 설립한 에어솔루션 연구소를 통해 지역 맞춤형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또 생산부터 판매, 설치, 유지보수까지 직접 수행하는 ‘현지 완결형’ 사업 구조를 바탕으로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 부사장은 “전 세계 주요 시장의 HVAC 컨설턴트와 긴밀히 교류하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실행 역량을 통해 사업 기회를 창출하겠다”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기반으로 글로벌 B2B 공조 시장에서 주도권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