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대선 레이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연설하는 모습. [사진 출처 = AP, 연합뉴스] |
미국의 우파 성향 케이블 뉴스 채널이자 친(親)트럼프 색채인 ‘뉴
스맥스’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주한미군 주둔비용 인상 가능성’ 시사에 주목했다.
19일(현지시간) 뉴
스맥스는 ‘한국의 대선후보 김(김 후보)이 미군 주둔비용 논의에 열려있다고 말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김 후보의 발언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매체는 “한국 보수정당의 대선후보인 김문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년째 요구해 온 미군 주둔비용을 더 많이 분담하는 방안을 논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수만명의 미군을 한국과 일본에 배치하는 비용을 관세 협상의 일부로 포함하고 싶다고 시사해 왔다”고 전했다.
앞서 김 후보는 전날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회장을 만난 자리에서 “글로벌 국제 정세와 통상 환경 급변이라는 위기 극복을 위해 한미동맹과 우호 협력을 강화하는 게 핵심”이라며 당선될 경우 6월 중 곧바로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조기 정상회담을 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김 후보는 또 곧 본격화할 것으로 보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에 대해 “일정하게 올릴 수 있다고 본다”면서도 “주한미군이 감축되면 어떻게 될지 걱정이 있다”고 언급했다.
 |
친(親)트럼프 매체인 ‘뉴스맥스’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주한미군 주둔비용 인상 가능성’ 시사 발언에 주목했다. [사진 출처 = 뉴스맥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캡처] |
뉴
스맥스는 이와 관련, “지난해 10월 한미 양국은 오는 2026년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전년보다 8.3% 인상한 약 1조5200억으로 하는 데 합의했다”며 “지금까지 한국 정부 인사들은 미군 주둔 비용 인상이 검토 대상이 아니며, 무역 관련 협의에 포함돼선 안 된다고 해왔다”고 보도했다.
최근 미국 정가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한국이 더 많은 견제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요구할 것이란 관측이 연일 나오고 있다.
랜들 슈라이버 전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 차관보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인도태평양안보연구소(IIPS) 주최 언론 간담회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수립 중인 국방전략(NDS)이 “어떻게 하면 미국과 한국이 미중 경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것을 역내에서 협력할 수 있는지”를 모색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국의 조기 대선 결과에 따라 방위비 분담을 비롯한 한미 양국의 군사협력 정책 기조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는 만큼 미국 정치권에서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