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 장애인도 OK”…아이폰 실시간 자막·음성 명령에 한국어 지원

[사진출처=연합뉴스]
애플이 올 하반기부터 아이폰 등 자사 기기의 실시간 자막과 음성 명령 기능에 한국어 지원을 추가한다.

그동안 영어 등 일부 언어로만 제공되던 이 기능에 한국어가 포함되면서 청각 장애인 등 국내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애플은 13일(현지시간) ‘손쉬운 사용 인식의 날’(Global Accessibility Awareness Day, GAAD)을 맞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새로운 접근성 기능들을 공개했다.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실시간 자막과 음성 명령 기능에 한국어를 비롯해 스페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가 추가된다는 점이다.


실시간 자막 기능은 통화나 영상 시청 등에서 음성을 자동으로 자막으로 변환해 화면에 띄워주는 기능이다.

지난 2022년 처음 도입된 이후 영어 등 북미 지역 중심으로만 제공됐지만 이번 확장으로 한국어 사용자들도 통화, 영상 시청, 미디어 감상 등 다양한 상황에서 자막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사진출처=애플]
음성 명령 기능 역시 지난 2019년 처음 선보인 뒤 영어 위주로 제공돼 왔다.

앞으로는 한국어로도 기기 조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이나 메시지 보내기 등의 명령을 한국어로 말하면 아이폰이나 아이패드가 이를 인식해 동작한다.

이에 따라 청각 장애인뿐 아니라 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도 더욱 편리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애플워치에는 청각 장애인과 난청 이용자를 위한 실시간 자막 기능이 새롭게 도입된다.

아이폰 등으로 페이스타임 통화를 할 때 애플워치 화면에 실시간으로 자막이 표시된다.


또 아이폰과 연결된 애플워치에서 들리는 소리를 자막으로 볼 수 있다.

애플워치가 리모컨처럼 작동해 실시간 듣기 기능을 시작하거나 멈출 수 있고 놓친 부분을 되감아 다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애플은 시각 장애인과 저시력자를 위해 맥(Mac)에서도 화면을 확대해 볼 수 있는 ‘확대기’ 기능을 제공한다.

점자 입력 기능도 추가돼 아이폰 등에서 점자로 글을 쓰거나 앱을 열 수 있다.

또한 난독증 및 저시력자를 위한 새로운 읽기 모드(Accessibility Reader)도 지원한다.

이 기능은 시스템 전체에서 텍스트를 읽기 쉽게 도와준다.


혼합현실(MR) 헤드셋인 ‘애플 비전 프로’에는 시각 장애인이나 저시력자를 위해 보이는 것을 확대해주는 기능과 주변을 묘사하고 사물을 찾으며 문서를 읽어주는 ‘실시간 인지’ 기능이 탑재된다.


애플은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장애인뿐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한층 높여 ‘모두를 위한 기술’이라는 비전을 실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손쉬운 사용은 애플의 DNA”라며 “모두를 위한 기술을 만드는 것이 애플의 최우선 순위”라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