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드라이브 흔들린 트럼프, 다시 원점으로…반도체 업계 “일단 안도”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드라이브가 최근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계기로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한 고위급 무역협상을 통해 각각 상호관세를 115%포인트 인하하기로 밝혔다.

이번 결정에 따라 미국이 중국 상품에 매기는 관세는 145%에서 30%로,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매겼던 125%는 10%로 낮아진다.


양국은 이번 합의를 오는 14일부터 조치할 예정이다.

인하된 관세는 90일간 적용된 뒤 향후 협상을 이어나가게 된다.


이번 합의에서 반도체를 비롯한 스마트폰, 반도체 장비 등 주요 첨단 정보기술(IT) 품목은 제외됐다.


앞서 미국은 지난달 2일(현지시간) 발표된 행정명령 14257호와 11일 공개된 관세 예외 조항의 공식 해석 발표에 따라 스마트폰, 노트북PC, 서버,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등은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일시적으로 제외된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


이들 품목에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별도의 품목별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특히 대(對)중국 특별 수입관세 20%는 기존 방침대로 유지된다.


아직까지 반도체 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 정책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은 만큼 업계에서는 관련 발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미·중 무역협상에서 상호관세가 대폭 인하되면서 일단 “최악은 면했다”는 분위기다.


다만 일각에서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단기적으로는 관세 인하로 인한 안도감이 확산되고 있지만 전략 품목 관세 유지와 공급망 재편 등 구조적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긴장을 늦추지는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미국이 반도체, 전기차, 철강 등 전략적 품목에 대해서는 기존 대중 관세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한 점도 업계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품목별 관세율이 언제 발표돼 얼마로 정해질지, 관세 부과 이후 미국 내 수요가 얼마나 위축될지 등은 사실 측정할 수 없는 것”이라면서도 “다만 이번 미중 협상은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하는 이벤트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반도체 품목 관세의 강도와 무관하게 발표 시점이 특정되면 (테크 섹터에 대한 심리가)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루트닉 상무장관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품목 관세를 조기에 확정짓고 싶어 하는 뉘앙스가 전달됐고 발표 시점이 미중 협상의 진행과 맞닿아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반도체의 불확실성 해소는 동시다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