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가격상승 우려 반영
 |
캘리포니아주의 한 중고차 매장 [사진 = AFP 연합뉴스] |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을 우려한 딜러와 소비자들이 구매를 서두르면서 미국 중고차 가격이 급등했다.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는 중고차 도매시장 경매 결과를 토대로 집계하는 맨하임 중고차 가격지수가 4월 208.2(1997년 1월=100 기준)로 전년 동월 대비 4.9% 상승했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가격지수는 팬데믹 이후 공급망 교란이 이어지던 2023년 10월 이후 1년6개월 만에 가장 높다.
제러미 롭 콕스 오토모티브 경제·산업 인사이트 디렉터는 “봄이 되면서 중고차 가격 반등 현상이 통상 4월 둘째주 무렵 종료되는 게 일반적”이라며 “올해 중고차 도매가격 상승세가 4월 한 달 내내 지속됐고 상승 강도도 훨씬 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세 영향으로 강한 가격 상승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해왔는데, 정확히 그런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이 완성차와 일부 부품에 부과한 25% 관세는 중고차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신차 가격과 생산량, 수요 변화에 따라 중고차 시장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점을 지적한 셈이다.
지난달 3일과 이달 3일 각각 외국산 자동차,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를 발효한 트럼프 행정부는 업계 반발을 감안해 관세 조치를 일부 완화했다.
중고차 공급 감소와 선구매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미국 온라인 중고차 판매업체 카바나는 어닝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했다.
카바나의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42억300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39억8000만달러를 상회했다고 CNBC가 이날 전했다.
카바나에서 거래되는 판매량도 전년 동기 대비 46% 늘어난 약 13만4000대를 보였다.
한편 미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제조업체 포드는 신차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포드 대변인은 로이터통신에 “통상적인 가격 조정에 일부 관세 부담을 더한 것”이라며 “관세 비용 전부를 고객에게 전가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중고차 시장의 가격 급등 협상을 트럼프 행정부 관세 탓으로 돌리는 것은 지나치다는 분석도 있다.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2022년 반도체 부족 현상에 따른 전 세계 자동차 생산량 급감으로 중고차 재고가 준 영향도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3월 중고차 재고는 214만대다.
이는 2019년과 비교해 25% 감소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