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가입자식별모듈(USIM) 데이터 해킹 사고 청문회에 출석했다.

[이가람 기자]

SK텔레콤이 초유의 위기에 직면했다.

가입자식별모듈(USIM) 정보 유출 사고로 가입자 불만이 확산하고 통신당국의 제재를 받는 것이 불가피해 대규모 출혈이 발생할 전망이다.

SK텔레콤이 추산한 매출·영업 손해와 위약금 면제 손실은 앞으로 3년간 7조원에 달한다.


8일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는 이날 오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SK텔레콤 해킹 관련 청문회에 출석해 과방위원들의 질문에 답변했다.

사고 수습에는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지만 위약금 면제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이었다.


유 대표는 “가입자 250만명이 이탈하고 위약금은 2500억원 규모가 될 것”이라며 “해킹 사태 이후로 25만명 정도 이탈한 상태인데, 지금의 10배 이상이 될 것 같다.

1인당 평균 해약 위약금은 최소 10만원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약금을 면제할 시) 가입자 이탈을 최대 500만명까지 생각하고 있다”며 “매출과 위약금을 고려하면 7조원 이상 손실도 예상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SK텔레콤은 현재 기한 없는 신규 모집 중단 조치와 가입자 이탈 러시가 겹치면서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유 대표는 “지금까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비정상적 인증 시도 차단 등 고객 보호에 집중해왔다”며 “(앞으로는) 고객신뢰회복위원회를 설치해 신뢰가 상실된 많은 부분에 대해 조사하고 보호 방안 등을 조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유권 해석을 참고해 이사회 및 신뢰회복위와 상의한 뒤 (위약금 면제를) 결정하겠다”며 “파장이 큰 부분이 있어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

일단 고객 보호와 신뢰 회복 후에 보상과 배상을 논의하겠다”고 호소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도 “아직 위약금 면제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면서 “사업자에게 상당히 심각한 피해가 될 수 있기에 쉽게 결정할 사유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