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공급망리스크 보고서
수출기업 53% “조달 여건 악화”
대응책 없는 기업 절반 넘어
정부 지원책 인지도·활용 저조

미중 간 ‘무역전쟁’이 심화하면서 올해 공급망 조달 여건이 작년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하는 국내 수출 기업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중국의 원자재 수출통제보다 미국의 무역제재가 공급망 위기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크다고 밝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트럼프 2기, 미국과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우리 기업의 공급망 리스크 인식과 시사점’ 보고서를 2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작년 기준 50만달러 이상 수출 실적을 보유한 제조기업 740곳을 대상으로 지난 2월 24일∼3월 10일 실시한 공급망 위기 관련 설문 결과가 담겼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3.4%는 트럼프 2기 이후 글로벌 공급망 조달 여건이 작년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망 조달 상황이 ‘지난해와 유사할 것’이라는 답은 41.4%였고, ‘개선될 것’이라는 답은 5.5%에 불과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견기업(55.1%)과 중소기업(53.5%)이 대기업(36.8%)보다 공급망 여건 악화를 더 우려했다.

업종별로는 가구 및 인테리어(76.9%), 섬유 및 의류(65.4%), 이차전지(63.9%), 자동차 및 부품(60.7%) 순으로 위기 인식이 높았다.


트럼프 2기, 글로벌 공급망 조달여건<무역협회>
수출기업들은 미국의 무역제재가 공급망 위기에 미치는 악영향을 중국의 원자재 수출통제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미국 제재에 대해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은 79.6%였고, 중국 통제에 대해서는 42.4%에 그쳤다.

미국 제재에 따른 공급망 조정 필요성 역시 65.8%로, 중국 제재 조정 필요성(30.3%)의 두 배를 넘었다.


공급망 위기로 인한 피해를 입었거나 피해를 예상하는 기업 비율은 미국 제재 관련 83.1%, 중국 통제 관련 73.0%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제품 생산비용 증가(45.6%)와 중국 외 지역 대체 공급업체 확보 필요성 증가(28.1%)를 주요 우려사항으로 꼽았다.


그러나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기업이 절반 이상(51.8%)에 달했다.

정부 공급망 지원 정책을 활용하는 기업은 17%에 불과했다.

정부 지원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지원책 정보를 몰라서’(48.2%)와 ‘필요한 지원책이 없어서’(28.7%)가 주로 지적됐다.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는 금융지원 확대(60.0%), 수급처 다변화 지원(42.3%), 규제 완화(29.2%), 연구개발(R&D) 지원(23.6%)이 꼽혔다.

특히 몰리브덴 괴, 탄화텅스텐, 희토류 금속, 비스무트, 텔루르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핵심 광물 품목에 대한 중장기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진실 한국무역협회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2기 이후 미중 갈등 격화로 국내 기업들은 원가 상승과 수급 단절 우려 등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정부는 공급망 다변화 지원과 함께 미중 충돌에 대비한 가이드라인과 보상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