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철강·2차전치 소재 분야에서 포괄적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은 한석원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부사장·왼쪽)과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사장). 현대차 |
현대차그룹의 8조원대 미국 루이지애나 전기로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에 포스코그룹이 공동 투자한다.
두 그룹은 전기차 2차전지 공급망 협력에도 나선다.
현대차와 포스코는 21일 서울 강남대로
현대차 사옥에서 '철강 및 2차전지 분야의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서'를 체결했다.
현대제철이 2029년까지 루이지애나에 건설하려는 연산 270만t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에 포스코가 공동 투자하기로 했다.
제철소 건설을 위한 투자금액은 총 58억달러(약 8조2000억원)다.
현대차는 이 중 절반을 외부 투자로 충당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지분투자 시 미국의 25% 철강 관세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현지 생산기지를 간접적으로 확보하게 된다.
2차전지 부문에서는 포스코와
현대차가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와 관련해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함으로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이후 글로벌 전기차(EV) 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포스코의 리튬 확보 역량과 이에 기반한 양·음극재 사업 경쟁력,
현대차의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기술력이 만나 양사가 '윈윈'하겠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손을 잡은 이유는 단기적으로는 미국이 쌓고 있는 '관세장벽'을 우회하고, 장기적으로는 중국이 장악한 '희소자원 공급망'을 대체하기 위해서다.
전문가들은 "산업이 고도화되고 국제 관계가 복잡해지면서 기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기업들 간 협력 관계 강화 움직임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철강 1·2위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경쟁 관계를 넘어 전략적 제휴를 맺는 것은 이례적이다.
중국의 저가 철강 물량 공세에 이어 미국의 25% 철강 관세 부과 등으로 글로벌 경영 환경이 악화된 가운데 국내 철강회사들이 생존을 위해 손을 맞잡은 것이다.
미국 내 제철소 공동 투자를 결정한 첫 번째 이유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고 있는 철강·자동차에 대한 25% 관세가 꼽힌다.
현대차그룹은 이달 초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참여한 가운데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t의 자동차용 강판을 생산할 수 있는 제철소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제철소에서 생산된 강판은 미국 내
현대차·
기아 공장에 우선 공급될 예정이다.
포스코는
현대제철의 전기로 제철소에 일정 지분을 투자하고 나서
현대차·
기아에서 필요로 하는 물량을 미국 내에서 조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포스코는 미국 생산 물량 일부를 미국 내 다른 완성차 회사 등에 직접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포스코가 제철소 지분의 얼마만큼을 확보할지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 산업 침체도
현대차그룹과 포스코의 협력을 성사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현대제철과 포스코는 중국의 저가 철강 밀어내기로 인한 공급 과잉, 건설 경기 부진에 따른 국내 수요 위축,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의 탄소 규제 강화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두 회사가 배터리 핵심소재 분야에서의 협력을 결정한 것은 더 먼 미래를 내다본 움직임이다.
자동차 산업은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를 앞두고 있다.
전기차 시대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기술 중 하나가 배터리다.
현대차그룹은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자체 연구 중이며 중장기적으로는 배터리 자체 생산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는
현대차그룹의 핵심 목표 중 하나"라고 말했다.
[김동은 기자 / 우제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