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는 임직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AI 어시스턴트 서비스를 자체 개발·도입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AI는 LG디스플레이 임직원의 반복적이고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단순화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화상회의 자동 통번역, 회의록 자동 작성 등을 지원한다.

LG디스플레이는 하루 8시간 기준 약 50분을 절감해, 일일 평균 업무 생산성을 약 10% 향상시킬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LG디스플레이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3년 내 임직원 업무 생산성을 30% 이상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용도 간편하다.

사내 인트라넷 '렛츠(Let's)'에 플러그인 방식으로 AI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했다.

사용자가 별도의 시스템 적응 없이 친숙한 환경에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또 동일한 기능의 외부 시스템을 도입했을 경우와 비교해 100억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안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치도 주목된다.

LG디스플레이는 AI 어시스턴트 서비스에 탑재된 대형언어모델(LLM)을 내재화해 정보의 외부 유출을 원천 차단했다.


사용된 모델은 LG AI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엑사원(EXAONE) 3.5'로, 세계 최대 AI 플랫폼인 '허깅페이스(Hugging Face)'의 리더보드 에지 부문에서 1위를 기록한 고성능 AI다.

요약, 번역, 검색, 생성 등 다양한 작업에서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하며, 플러그인 AI 앱 개발은 LG CNS와 협업해 진행됐다.


개발은 계속 이어진다.

상반기 중 '이메일 AI 요약', 자연어 기반 지표 분석 등 데이터 처리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며, 하반기에는 보고용 PPT 초안 작성 등의 문서 작성 어시스턴트 기능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이 같은 AI 기반 업무 혁신을 통해 디지털 전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3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승인하는 '사업재편기업' 중 디지털 전환 분야 대상 기업으로 선정됐으며, 자동화 시스템 고도화 및 지능화 시스템 구축을 통해 OLED 생산성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이병승 LG디스플레이 DX그룹장(상무)은 "개인 AI 어시스턴트 도입으로 개인 업무 생산성을 극대화함으로써 단순 업무는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상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