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글로벌 관세전쟁으로 인해 국내 수출 효자 업종으로 떠오른 식품업계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원재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식품기업들은 원·달러 환율이 10% 오르면 연간 세후 이익이 많게는 1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패션·뷰티 등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중소기업도 달러당 원화값이 1500원까지 내려가면 버티기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식품산업은 생산 원가에서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70%로 높아 재료 수입 단가 상승이 수익성 악화로 직결된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사업 계획을 원·달러 환율 1400원대 기준에서 1450원대로 수정했는데, 그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한국식품산업협회도 최근 "소비 침체 장기화와 고환율·고유가 등 국제 정세 악화, 이상 기후로 인한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 기조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를 예고한 것과 관련해 식품업계는 자체 준비에 돌입하면서도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삼양식품은 관계 부서와 미국 법인을 중심으로 '관세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책을 수립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기업 부담 완화를 위해 원료 구매 자금을 지원하고, 농식품 수출 바우처와 수출보험 확대를 검토할 방침이다.
[박홍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