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시 하버드대 근처의 한 고급 아파트.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이 곳에서 고급 성매매가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사진 출처 = 미 CBS방송 유튜브 캡처] |
미국 하버드대 근처의 한 고급 아파트가 지역의 상류층들이 시간당 최대 600달러(약 88만원) 요금을 내며 이용했던 성매매 업소였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외신은 이곳에서 변호사·기업 임원·의사·정치인들의 신청서와 신분증도 다수 발견돼 지역사회가 충격에 빠졌다고 전했다.
7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에 따르면 이 고급 성매매 업소의 운영자는 40대 한국계 여성 한 리(42)였다.
이 여성은 한국에서 가난으로 고생하던 중 미국으로 건너가 매춘업에 뛰어들었다.
이후 큰돈을 얻었지만 지난달 매춘과 자금 세탁을 유도한 공모 혐의로 4년형을 선고받았다.
당시 리의 연방 공공 변호인은 법원에 성매매 여성들에게 수익의 절반 이상을 지급, 원하면 서비스를 거부할 수 있게 허용했다고도 변호했다.
하지만 법원은 리에게 실형과 550만 달러(약 81억원) 몰수를 명령했다.
더욱이 사추세츠 지역사회는 기업 임원과 의사, 변호사 등의 남성들이 성매매 업소에 자신의 개인 정보를 스스럼없이 줬다는 것을 두고 놀랐다.
심지어 남성들은 “기존 고객이나 다른 업소의 추천을 받아와야만 신규 고객이 될 수 있다”는 업소의 요구 조건도 수용해서다.
이를 두고 검찰은 “단속을 피하기 위해 업소가 고객을 엄격하게 심사한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를 통해 업소는 감시망을 교묘히 피하면서 매사추세츠 지역의 상류층 남성들을 끌어모았다.
현지 법원은 성매매 혐의를 적용해 업소 고객들의 신상 공개를 결정했다.
이들의 변호인들은 매사추세츠 대법원에서 “이들은 일개 평범한 시민이다”며 재판부에 선처를 호소했지만 반려됐다.
공개된 명단에는 폴 토너 케임브리지 시의원(58)도 포함됐다.
그는 이 사실이 알려지자 지난달 시의회에서 위원장 및 공동 의장 직함 5개를 박탈당했다.
그는 “이 사건에 연계돼 부끄럽다”면서도 “(의원직에서) 물러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매체는 최첨단 폐수 처리 기업 ‘
그래디언트’의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아누라그 바지파이(40)도 명단에 포함됐다고 전했다.
그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출신의 기계 엔지니어로 기업 가치를 10억 달러(약 45조원)까지 끌어올린 주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현지 경찰은 새로운 암 치료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테크 기업 CEO의 신분증과 운전면허증, 신용카드 등도 업소에서 발견됐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