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3대장 엘·리·트가 주도”…‘잠·삼·대·청’ 아파트 매매 거래량 견인

지난해 6월 잠실 엘스, 리센츠 아파트 외벽에 토지거래허가제 해제를 요구하는 현수막이 걸려있는 모습[이승환 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재지정됨에 따라 서울 아파트 시장은 다시 관망세로 접어들고 급증하던 거래량도 잠시 주춤하는 모습이다.


7일 직방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다음날인 2월 13일부터 지난달 23일까지 39일간 동안 서울 전체 매매 거래량은 9665건(4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39일간 규제 대상 지역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353건으로 해제 직전(99건)보다 3.6배 이상 많았다.


신고가 경신 거래도 증가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직전 39일 13건이었던 잠.삼.대.청(잠실동,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 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단지 기준)의 신고가 거래 사례는 해제 이후 84건으로 약 6.5배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서울 전체 신고가 경신 케이스가 362건에서 839건으로 2.3배가량 늘어난 것에 비해 두드러진 수치다.

다만 아직 실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어 최종적인 거래량 집계는 유동적일 수 있다.


규제 해제 대상 지역 내에서는 잠실동의 거래가 가장 많았다.

이 기간 잠실동은 총 135건의 아파트가 거래됐다.


세부 단지로는 역시 잠실동 3대장의 거래가 많았다.

리센츠가 38건, 잠실엘스가 34건, 트리지움이 30건으로 많았다.

소위 ‘잠실 3대장’으로 불리는 엘, 리, 트 단지는 대규모 단지 구성과 우수한 교통망, 편리한 생활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3개 단지 총규모가 1만5000세대에 육박해 거래량도 많고, 서울 아파트 거래 시장의 선행지표로 역할을 하는 만큼 이번 규제 해제 직후 매수세가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삼성동이 86건, 대치동이 71건, 청담동이 61건 순이다.

삼성동은 삼성동힐스테이트1단지가 16건, 대치동은 대치현대 10건, 청담동은 청담자이 11건 등 순으로 거래됐다.


잠실 아파트 일대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편 규제 대상이 아니었던 지역에서는 ▲강남구(규제해제대상 제외) 676건 ▲강동구 652건 ▲송파구(규제해제대상 제외) 652건 ▲성동구 637건 순으로 거래량이 많았다.

강동구와 송파구도 각각 652건 거래되며 뒤를 이었다.


해제 대상 지역의 주 단위 기간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대상 지역의 거래량은 초기 급증한 후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해제 직후 1주일 총 122건의 아파트가 거래되며 가장 많았다.

거래 제한이 해제되자 빠르게 움직인 수요자들이 즉각적으로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후 주차가 지날수록 66건, 57건, 47건, 26건으로 거래 건수는 다소 감소했다.

이는 초기 수요 집중으로 인한 호가 상승, 매물 회수 등 매도·매수자 간의 격차 확대가 거래 감소에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지난달 19일 정부와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지역 확대 재지정을 발표했고, 이후 나흘 동안의 거래량(35건)은 전주(26건)보다 소폭 늘었다.

다만 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어 정확한 거래량 추이는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재지정된 지 2주가 지났다.

규제 지역 재지정으로 인해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출 규제·세제 강화 조치가 다시 적용되면서 매수자들의 관망 심리가 짙어지고 있으며 시장은 눈치 보기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다”며 “이번 조정이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지, 아니면 추세적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