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출처=연합뉴스] |
애플이 인공지능(AI) 기능 관련 허위·과장 광고를 했다는 논란에 연일 휩싸이고 는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련 조사에 착수했다.
서울YMCA가 최근 한국어 지원이 발표된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에 대해 “핵심 기능이 빠진 껍데기에 불과하다”고 재차 지적했다.
3일 시민단체 서울YMCA는 성명서를 내고 “애플이 이번 아이폰 운영체제(iOS) 18.4 업데이트를 통해 애플 인텔리전스를 지원한다고 밝혔지만 여기에는 광고했던 ‘온디바이스 차세대 AI 시리’와 ‘개인화된 정보 제공’ 등의 핵심 기능이 빠졌다”고 지적했다.
서울YMCA는 “이와 관련해 미국에서 소비자 집단소송이 제기된 바 있으며 소송의 핵심 쟁점은 애플의 광고가 제품이 실제로 갖고 있지 않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속여 소비자가 프리미엄 가격으로 구매하도록 오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애플은 지난 1일부터 iOS 18.4 업데이트를 통해 ‘애플 인텔리전스’에서 한국어를 지원한다.
애플 인텔리전스를 탑재할 수 있는 아이폰 16 시리즈를 공개한 지 반년 만이다.
음성 비서 시리(Siri)도 애플 인텔리전스와 통합해 업그레이드했다.
음성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타이핑 입력으로 시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앞선 요청과 이어지는 맥락도 이해한다.
서울YMCA는 “해당 기능이 광고와 달리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것에 대한 우려가 애플 내부에서 이미 있었던 사실도 밝혀져 소송의 근거로 사용됐다”며 “하지만 애플은 여전히 공식 홈페이지에 ‘한국어 애플 인텔리전스’를 강조하며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애플은 업데이트를 통해 지원되는 기능이 애초에 광고했던 내용과 상이하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능들이 제외된 것인지 하나도 빠짐없이 소비자에게 고지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YMCA는 공정거래위원회에 애플에 대해 신고했고 공정위가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표시광고법) 위반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공정위가 신속한 조사와 조치 및 검찰 고발을 통해 더 이상 소비자 피해가 확대되지 않도록 엄정히 대처해 달라고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