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과 수도권에서 전용면적 60㎡ 미만 소형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이 85㎡ 초과 대형 아파트보다 약 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부동산정보업체 더피알이 부동산인포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청약 시장에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는 전용면적 60㎡ 미만 소형 아파트 1만1013가구가 일반 공급됐다.

청약 통장은 36만 4930개가 접수돼 경쟁률은 33.14대 1에 달했다.

반면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 아파트는 9067가구 모집에 4만9411개의 청약통장이 접수되며 5.4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소형 아파트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낮은 분양가와 함께 신혼희망타운, 생애최초 특별공급 등 다양한 청약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보금자리론 등 정부의 금융지원 혜택도 받기 쉬워 대출규제에서도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1~2인 가구는 2015년 1019만 가구에서 2023년 1417만 가구로 8년 사이 약 398만 가구가 증가했다.

2023년 전체 가구 중 1~2인 가구 비율은 64.2%에 달하며, 3인 가구까지 포함하면 83.2%를 차지한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소형 아파트 거래량도 증가세를 보인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의하면 전용 60㎡ 이하 거래량은 2022년 26만7904건에서 2023년 28만3927건, 2024년 30만6941건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소형 아파트는 실거주와 투자, 제도적 이점을 모두 갖추고 있어 자연스럽게 수요가 몰리고 있다”며 “부동산 시장에서 유동성 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소형 아파트 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가운데 이달 중 경기도 부천시 원종지구에는 ‘원종 휴먼빌 클라츠’가 분양될 예정이다.

전용면적 46~59㎡, 총 255가구 규모로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아 공급된다.


원종 휴먼빌 클라츠 투시도. 더피알
같은 달 대우건설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59·84㎡ 총 2043가구 규모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인근에 있다.


인천에서는 부평구 산곡역 인근에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이 분양될 예정이다.

지상 최고 45층, 전용면적 39~96㎡ 총 2475가구 중 1248가구가 일반분양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