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銀 1624억 유출...신한證 유입 규모 웃돌아
유일한 1000억대 이탈...한투·미래·삼성證 유입↑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도입 후 신한은행의 자금 유출액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도입 후 신한은행의 개인 자금 유출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서 빠져나간 자금은 다른 금융그룹 계열사로 대거 흘러들어간 것으로 파악된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퇴직연금사업자별 실물이전 순유입 및 순유출 규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부터 올 1월 말까지 3개월 동안 퇴직연금 실물이전을 통해 신한은행에서 유출된 자금 규모는 약 162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퇴직연금 사업자 중 가장 큰 규모다.

1000억원 이상 자금이 유출된 사업자는 신한은행이 유일하다.

뒤이어 농협은행(-995억원), 미래에셋생명(-822억원), IBK기업은행(-728억원), 우리은행(-401억원) 순으로 유출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에서 빠져나간 퇴직연금은 대부분 개인 자금으로 집계됐다.

확정기여(DC)형에서 309억원 규모 자금이 들어왔으나 확정급여(DB)형에서 566억원, 개인형 퇴직연금(IRP)에서 1367억원가량 빠져나갔다.

신한은행은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은행권에서 가장 큰 만큼, 유출액도 클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아무래도 퇴직연금 적립 규모가 크다보니 유출액도 큰 것으로 보인다”며 “적립금 규모만 보면 퇴직연금 실물이전 시행 후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다만 퇴직연금 점유율 상위권을 다투는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의 유출 규모는 400억원 미만으로 알려졌다.


신한은행에서 빠져나간 자금이 대거 다른 금융그룹 계열사로 흘러들어갔다는 점은 신한금융그룹 입장에서 뼈아픈 대목이다.

같은 기간 신한투자증권으로 유입된 퇴직연금 규모는 신한은행에서 유출된 규모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투자증권으로 유입된 자금 중 신한은행에서 넘어온 건 50%가 채 되지 않는다.

반면 다른 한국투자증권은 신한은행의 유출액보다 큰 규모의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한국투자증권으로 유입된 퇴직연금은 약 2074억원에 달한다.

뒤이어 미래에셋증권(1456억원), 삼성화재(752억원), 삼성증권(623억원), 한화생명(387억원) 등으로 자금 유입이 많았다.


금융업계에서는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다.

상품 경쟁력이 높은 증권사로 자금이 이동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에서 증권사로 퇴직연금 자금이 이동하는 것은 실물이전 시행 전부터 예견된 일”이라며 “현재 자금 이동 흐름을 보면 오히려 은행에서 자금 이탈이 예상보다 적은 편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 퇴직연금 상품에 대출을 끼워 넣는 식으로 이탈을 막고자 하면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신한은행의 유출액이 유독 크다는 건 그만큼 다른 은행들이 고객 이탈 방지에 신경을 더 쓴 것으로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