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의 ‘뉴럴링크’ 첫 임상시험
미세 전극으로 컴퓨터 조작
 |
뉴럴링크. (출처=뉴럴링크 제공) |
뉴럴링크가 개발한 컴퓨터 칩을 뇌에 이식받은 환자가 ‘생각만으로’ 체스를 두는 등 각종 게임을 즐기며 새 삶을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뉴럴링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이다.
영국 BBC는 23일(현지 시간) 뉴럴링크 뇌 임플란트 첫 시술 대상자인 놀런드 아르보(30)의 근황을 보도했다.
아르보는 다이빙 사고로 어깨 아래 모든 신체가 마비된 지 8년 만이던 지난해 1월, 뉴럴링크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 ‘텔레파시’를 뇌에 이식받았다.
같은 해 3월 뉴럴링크는 아르보가 휠체어에 앉아 손발은 그대로 둔 채 노트북 스크린의 마우스 커서를 조작해 체스를 두는 영상을 공개했다.
BCI 장치를 두개골에 이식하고 미세한 전극을 통해 신경세포(뉴런)와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르보는 1년이 지나면서 칩을 통한 조작 능력이 향상됐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사고 이후 포기해야 했던 게임을 하면서 성장했다”며 “이제는 게임으로 친구들을 꺾기도 한다.
불가능했던 일이 일어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이 장치를 통해 휠체어나 휴머노이드 로봇까지도 조작할 수 있게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영상에서 뉴럴링크 수술이 ‘매우 쉬웠다’고 평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1월 수술 후 병원에서 하루 만에 퇴원했다”며 “아직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들이 남아 있다”고 했다.
물론 모든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한때 칩과 뇌 사이 연결이 끊기며 컴퓨터 조작이 불가능해진 적도 있었다.
아르보는 “정말 속상했다”며 “다시 뉴럴링크를 사용할 수 있을지 알 수 없었다”고 했다.
아르보는 6년간 이어질 뉴럴링크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잘 되든 안 되든 인류에 도움이 되는 선택이었다”고 회상했다.
뉴럴링크는 생각만으로 의사 소통하고, 컴퓨터를 조작하도록 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고 있다.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기계와 협업하거나 최소한 보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겠다는 게 머스크의 장기적인 목표다.
뉴럴링크는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얻어 9월 첫 임상 참가자를 모집했다.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일각에선 이 기술이 인간의 내밀한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서섹스대 신경과학 교수인 애닐 세스는 BBC에 “두뇌 활동을 추출한다는 것은 우리의 행동만이 아니라 생각, 믿음, 감정까지도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