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리 따라 오려면 멀었지”...삼성전자, 독일서 화끈하게 보여준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2025 유럽 테크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2025년형 Neo QLED 4K 신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출처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오는 19일(현지시간)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2025 유럽 테크 세미나’를 열고 2025년형 TV의 차별화된 기술과 AI TV 신기술을 보여준다.


18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테크 세미나는 2012년부터 전 세계 주요 지역에서 영상·음향 분야의 미디어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삼성 TV의 최신 기술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행사다.


업계 관계자들이 신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의견을 나누는 자리인 만큼 삼성 TV의 기술력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테크 세미나에서 2025년형 네오 퀀텀닷발광다이오드(Neo QLED) 4K와 ‘글레어프리 2.0’으로 빛 반사를 줄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라이프스타일 TV 등과 함께 AI 기반 시청 경험과 사운드 기술을 소개한다.


특히 ‘비전 AI’를 기반으로 AI 시청 경험과 고객 중심의 멀티 디바이스 경험(CX-MDE)을 선보이는데 주력한다.


재생 중인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클릭 투 서치’, 외국어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바꿔주는 ‘실시간 번역’,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TV를 제어할 수 있는 ‘퀵 리모트’ 등의 기능이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또 구글과 공동 개발을 통해 업계에서는 처음 적용한 ‘이클립사 오디오’ 기술도 소개한다.

해당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사운드바 연계 3D 사운드 효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유럽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주요 지역에서도 테크 세미나를 순차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최근 중국이 프리미엄 TV 시장에서까지 국내 기업들을 추격해오고 있는 만큼 QLED TV 등에서 기술 경쟁력 우위를 입증할 계획이다.


한국 기업은 전 세계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영국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50.5%, LG전자는 30.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반면 중국 주요 브랜드인 TCL과 하이센스는 점유율이 각각 1%, 0.5%에 불과해 한국 기업이 전체 시장의 81.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TCL과 하이센스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최근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가전업계에 따르면 TCL과 하이센스는 미국 소비자들로부터 QLED TV가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기술을 포함하지 않거나 미미한 수준이면서도 QLED 기술을 포함한 것처럼 허위로 광고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당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