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 실적 부진에 경영진 대폭 쇄신
신임 사장에 멕시코 출신 에스
피노사
닛산 주채권은행 미즈호은행 등
혼다와 경영통합 재개 요청 나서
 |
닛산이 11일 경영진 교체를 발표한 가운데 도쿄 긴자의 닛산 쇼룸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
실적 부진에 빠진 일본 닛산자동차가 경영진을 대폭 수술하며 쇄신에 나섰다.
지난달 결렬된 혼다와의 경영통합 논의가 재개될 것인지 주목된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은 닛산이 전날 이사회를 열어 우치다 마코토 사장을 이달 31일부로 퇴임시키는 안을 의결했다고 보도했다.
차기 사장은 닛산의 신차 전략을 총괄하는 이반 에스
피노사 최고기획책임자로 결정됐다.
40대인 그는 멕시코 출신이다.
2003년 멕시코 닛산자동차에 입사해 2018년부터 글로벌 상품 기획을 맡았다.
우치다 사장은 카를로스 곤 닛산 회장의 체포 등으로 혼란스럽던 2019년 12월 취임했다.
최대 주주인 프랑스 르노와 자본관계를 재검토해 독립 경영 등을 추진했고, 코로나 특수를 맞아 일시적으로 실적을 개선하기도 했다.
 |
닛산 신임 사장으로 선임된 이반 에스피노사 최고기획책임자. [연합뉴스] |
하지만 닛산은 미국과 중국 등에서 판매 실적이 좋지 않아 2024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에 약 800억엔(약 79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닛산 이사회는 우치다 사장의 경영책임이 커서 사장을 교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지난해부터 혼다와 경영통합을 통해 생존을 모색했던 닛산은 지난달 합병 협의 중단을 공식화했다.
경영부진에 빠진 닛산의 자구책에 만족하지 못했던 혼다가 닛산을 자회사로 만드는 방안을 제시했고, 여기에 대해 닛산 경영진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파탄이 난 것이다.
이를 주도한 인물이 우치다 사장을 포함한 현 경영진이었는데, 이들이 상당수 퇴임하게 되면서 신임 사장이 이를 다시 추진할 것인지 주목되는 상황이다.
특히 닛산의 주채권은행인 미즈호은행은 혼다와의 경영 통합이 닛산이 생존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보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에스
피노사 신임사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혼다와의 재협상에 대해) 언급할 부분이 없다”며 “우선은 닛산 내부가 단결해 안정과 성장을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
이달 말을 끝으로 회사를 떠나는 우치다 마코토 사장. [연합뉴스] |
닛케이는 “혼다와의 경협통합 뿐 아니라 대만 폭스콘의 움직임도 주목되는 상황”이라며 “닛산 경영진이 상당수 바뀌면서 혼다와 재협의를 위한 전제조건은 갖춰진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