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층의 언론에 대한 비관주의가 뚜렷한 가운데, 보도의 질을 높이는 것이 언론 신뢰 회복의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8일 언론정보연구에 실린 논문 '언론 신뢰 결여와 관련한 다양한 태도'(최지향 이화여대 부교수)에 따르면, 청년들의 언론에 대한 반감은 불신, 냉소, 회의, 무관심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태도가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는 19~35세 청년 1,158명(1차)과 700명(2차)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분석 결과 불신과 회의 간 상관관계가 높고(0.82), 무관심은 냉소 중에서도 언론의 미래를 비관하는 태도(0.75)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한, 언론에 대한 비관주의가 강한 청년들은 정치 지식은 낮지만 정치 참여는 활발한 반면, 불신이 높은 청년들은 정치 지식도 많고 정치 참여도 적극적인 경향을 보였습니다.
최 교수는 "보도의 질을 높이는 것은 기성 언론을 정기적으로 소비하면서 보도의 질에 불만이 있는 이들에게는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언론에 대한 냉소가 높고 무관심한 이들에게는 의미가 없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언론에 대한 비관주의는 민주 시민으로서 청년들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정치적 지식이 부족하지만 정치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년들이 기성 언론이 아닌 대안적 통로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보 소비가 주요 공적 이슈를 놓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최 교수는 "언론에 대한 불신보다 더 우려해야 할 것은 청년층이 기성 언론에서 완전히 이탈하고 그 가치를 폄훼하는 상황"이라며 "특히 20~30대와 기성 언론이 어떻게 다시 연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언론사들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