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한 가운데 서울시가 지난 12일 아파트 수요가 몰리는 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일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했다. 사진은 13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에 부동산 매매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한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 아파트가 꿈틀거리고 있다.
23일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21일 기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 구역이 해제된 12일부터 20일까지 강남3구(서초·송파·강남)의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은 24억5139만원으로 해제 전인 1∼11일(22억6969만원)보다 8.0% 급등했다.
같은 기간 강남3구를 제외한 나머지 22개 구의 평균 거래가격은 9억1859만원으로 2.6%(2462만원) 떨어졌다.
서울 전체 평균 거래가는 11억1828만원으로 1.6%(1773만원) 하락했다.
이달 1∼20일 기준으로 보면 강남3구 평균 거래가격(23억1119만원)은 전월 동기(22억6472만원) 대비 2.1% 올랐다.
같은 기간 나머지 22개 자치구의 평균 거래가는 6.2%,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거래가는 8.2% 각각 내렸다.
대출 규제와 정국 불안정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에는 한파가 덮쳤지만 강남3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상승하고 있다.
해제 이전에도 상승세를 보이긴 했지만 12일을 기점으로 동반 하락 지역은 물론 동반 상승하던 지역과도 격차를 벌리고 있다.
강남3구와 나머지 자치구 22개의 가격 차를 보면 이달 1∼11일 평균 13억2648만원이던 격차는 12∼20일 15억3280만원으로 15.6%(2억632만원) 확대됐다.
 |
강남 대치동 학원가 모습. [사진 = 연합뉴스] |
이 같은 현상은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집값 통계에서도 잘 나타난다.
이달 셋째 주 기준으로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송파(0.22%포인트), 강남(0.19%포인트), 서초(0.07%포인트)로 집계됐다.
이들 지역은 동반 상승세를 타던 마포(0.0%포인트), 광진(0.04%포인트) 등과도 상승 폭에서 차이를 벌렸다.
반면 동대문(-0.05%), 노원·도봉(각각 -0.04%), 금천·구로(각각 -0.01%) 등은 더 하락했다.
실제 거래는 송파구의 경우 ‘엘리트’(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를 중심으로 호가가 급등하고 있다.
84㎡ 타입 기준으로 트리지움은 지난 17일 26억원에 계약이 체결돼 지난 6일(24억8000만원)보다 1억2000만원 올랐다.
리센츠는 8일 27억원에 계약됐지만 14일에는 5000만원 오른 27억5000만원을 기록했다.
강남구도 지난해 12월 35억5000만원에 매매가 성사된 래미안대치팰리스가 이달 13일에 4억5000만원 오른 40억원에 계약을 체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