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에 주머니 생기는 ‘게실’ 질환
심각한 게실염의 경우 수술 치료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게실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장의 게실병’으로 병원을 찾은 인원은 6만7557명이다.

5년 전인 2018년(5만3297명)과 비교해 26.8% 증가했다.

‘게실’은 대장 벽이 약해지면서 꽈리 모양의 주머니(게실)가 형성되는 질환이다.

특히 고령층을 중심으로 발생하는데, 65세 이상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게실 질환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수영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게실 질환은 전염성도 없고 암으로 발전하는 질환은 아니다”라면서도 “출혈로 이어지거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고, 복막염 등으로 진행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게실 질환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나이와 식습관이 주요 요인으로 추정될 뿐이다.

나이가 들면 대장 벽이 약해지고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혈관과 장관 근육 사이의 틈이 넓어지는데, 이로 인해 대장이 과도하게 수축하거나 압력이 높아져 대장 벽의 약한 부위에 주머니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 음주나 살코기를 많이 포함한 서구식 식단, 각종 비만 등이 게실 질환과 연관돼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나수영 교수는 “여러 연구에서 살코기와 고지방 식단, 비만, 운동 부족, 음주, 흡연, 소염진통제 등이 게실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말했다.


게실 질환은 증상과 합병증의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나뉜다.

증상이 없는 단순 게실증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식단을 바꿀 필요도 없다.

만약 게실염을 겪을 경우엔 치료가 필요하다.

항생제 치료와 금식 등으로 염증을 조절하고,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까지 고려한다.


특히 좌측 게실염은 우측 게실염에 비해 염증과 합병증 위험이 높아 조기 수술의 위험성이 더 높다.

만약 게실에서 출혈이 발생할 경우에는 지혈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 치료 없이도 멈추지만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대장 내시경을 통한 지혈술이 필요하다.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평소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 게실 질환의 위험을 줄이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나수영 교수는 “게실 질환은 장 건강의 경고등과 같다”며 “건강한 식생활과 생활 습관을 통한 게실 질환의 관리는 장 건강뿐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