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사측, 홈플러스 영남권 분할 매각 시도 의혹”
홈플러스 “사실무근…파트타임 채용, 성수기 대비”
 |
홈플러스 강서 본사. (출처=홈플러스 제공) |
부산·울산·경남 지역(영남권) 점포 희망퇴직과 관련해 홈플러스와 노조가 각각 다른 주장을 펼치며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 16일 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는 전날 보도자료를 내고 “홈플러스가 부·울·경 지역을 대상으로 지난 12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면서 현장에서 극심한 인력난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 측은 이번 희망퇴직에 대해 “강제 구조조정에 가깝다”는 입장을 전했다.
회사가 희망퇴직 조건으로 정년을 11개월 앞둔 직원에게 12개월 치 임금을 보장하는 식의 방식을 내걸었다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에 따르면 정년을 앞둔 직원들이 먼저 희망퇴직을 신청하자, 나머지 직원들은 업무 부담이 가중될 것을 우려해 희망퇴직을 신청하는 상황이다.
희망퇴직 신청자가 급증하자 현재 회사는 전국적으로 단기 아르바이트 인력을 모집해 인력을 보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노조는 이번 부·울·경 점포 희망퇴직과 관련해 단순 인력 감축이 아니라 올해로 인수 10년을 맞은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엑시트 차원의 선제 조치라며 영남권 분할매각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사측이 지역별 매출 규모를 공개하지 않고 영남권 점포의 인력만 줄이기로 한 것을 이해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회사는 지난 14일 서울 중랑구에 위치한 신내점 자산유동화 확정 공문을 게시했다.
노조는 이에 ‘매각 시 보충 교섭’을 사측에 요구한 상황이다.
다만 홈플러스 본사 측은 이 같은 노조의 주장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며 선을 그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희망퇴직은 자발적으로 퇴직을 희망하는 직원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며 지원 규모에 따라 인력 운영계획이 완료되면 곧 인력 재배치를 시행할 예정”이라며 “점포 운영 개선 시행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안정화 계획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점포별 매출을 기준으로 할 경우 부·울·경 지역은 인력 수급이 불균형한 곳으로 판단돼 희망퇴직을 진행했다.
영남권 점포들을 분할매각할 것이라는 노조의 근거 없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논란을 일축했다.
또 신내점 자산유동화는 건물 재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과정이라는 설명이다.
회사 측은 “신내점은 점포 노후화가 많이 진행됐다”면서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건물 재개발 완료 후 최신 설비를 갖춰 다시 입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